스페셜
"현장"(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구실 사고조사반원 위촉장 수여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것으로 기대된다. o 한편, 사후 보고되는 중대사고에 대해서는 사고조사반원 1명이상을 현장점검반으로 구성,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사고사례를 전파함으로써 동일한 유형의 사고재발을 방지할 계획이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사고조사반 구성․운영과 금년 말까지 사고관리기준 개발․보급 ...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임상의에게 군 복무 대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의들이 의료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분야의 기초연구에 참여한다면 우리나라의 의생명 연구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기 교수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연 ... ...
-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동아사이언스 l2013.04.15
- 재수술 없이 골절을 치료할 수 있다. 반면,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수술용 로봇은 현장의 필요에 의해 공학자들이 개발해낸 대표적인 역방향 기술로 꼽힌다. 김희찬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는 “앞으로 국내에서 연매출 3000억원을 넘는 의료기기 기업이 10개 정도 나오면 의공학 분야의 생태계가 ...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3.31
- 안전사고 원인분석 및 사고현장 재구성 기술 개발, 사건현장 증거물 수집 효율화를 위한 현장감식 기법의 연구 등을 신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숭덕 서울대 의대 교수는 “같은 유전자 검사를 하더라도 민족별로 유전자형과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수사 기법도 달라져야 한다”며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6월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NYKB의 좌담회가 열렸다. 대덕넷 제공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지난달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뉴욕한인생명과학자협회(NYKB·New York Korean Biologists) 연구자와 ‘바이오강국을 향한 과제’를 주제로 좌담회를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동아사이언스 l2012.04.18
- 정책, 최적의 투자, 전문적인 평가’ 라는 삼박자 △ 국가는 큰 그림, 정부부처는 현장과 연계된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려야. △ 주요 분야별, 사업별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성과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모델과 지수 구축. 유승준 실장은 2006년 고려대 생명유전공학 박사 ...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바이오 선진화를 위해서는 바이오 산업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현장의 소리를 듣고 정책을 마련하는 자리에 오래 몸담은 그가 생각하는 바이오 산업 활성화 방안은 뭘까. ●“기초원천 사업의 성과 지도 만들겠다” 우리나라의 바이오 R&D는 1983년 생명공학육성법이 제정된 뒤 급격히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로드맵을 만들어 간극을 줄여가라"고 제안했다. 박준기 충북대 교수는 융합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연구자들이 수시로 만나 협의할 수 있는 협의체 신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 세계는 지금 바이오 전쟁 중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같은 국내 바이오산업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사안들에 ...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1.11.28
- 해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가 관심이 없다면 그 연구는 빛을 잃고 만다고 설명했다. 진료 현장에서도 필요한 연구가 있으면 의사는 과학자에게 허심탄회하게 요청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선 교수는 “병원 경영을 대부분 진료비로 충당하는 환경에서는 의사들에게 연구에 ... ...
이전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