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스페셜
"
전망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것인지를 알게 되면서 인쇄기술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인쇄 사업이 매우 좋은
전망
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 그는 1438년에 판화(版畵) 인쇄의 공동 사업자로 인쇄에 투신한다. 보석 세공직이었던 구텐베르크는 지위가 높은 승려와 돈 많은 영주들이 사는 곳을 자주 드나들었기 때문에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숭실대 교수, 서수길 인제대 교수, 심호섭 단국대 교수 산업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전망
이 나왔다. 서수길 인제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종근당과 5년간 공동연구하면서 새로운 면역억제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장기이식에서 오는 면역반응을 해결할 수 있다면 의료성과는 물론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2026년이 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
이 공공연하다. 인구 분포상 노인 비율이 늘어나는 것은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된다. 현재는 15~64세인 생산인구 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지만 2023년에는 2명, 2035명에는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연구원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행정 지원도 아끼지 않을
전망
이다. “이렇게 2~3년이 지나면 다수의 스타 과학자를 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연구방향이 비슷한 연구그룹이 모인다면 ‘전문연구소’로 출범시킬 생각입니다. 이 연구소에 자율성을 부여해 임기 내에 3~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갖춰지고, 애초 목표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2020년 안에 글로벌 신약을 개발할 것이라고
전망
한다. 그러나 아직 풀어야 할 과제는 많다. 우선 우수 인력을 사업으로 연계할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또 우수한 연구역량을 가진 연구진 간의 연계가 부족한 것도 문제다. 이 단장은 “대학과 연구소, 정부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수 있는 한국 실험실도 많아졌고 논문도 늘어나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
했다.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우수 인재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세우면 10~20년 후에는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길 것”이라고
전망
했다. 강민석 박사도 김 박사 의견에 동조했다. 강 박사는 “요즘 많이 언급되는 ‘맞춤형 신약’은 어떻게 보면 한의학”이라며 “한의학은 체질별로 약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한국에서 ‘맞춤형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만한 물건을 만들 수만 있으면 부가가치도 커지고 고용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
했다. ●동식물서 신약성분도 찾아내…제3의 농업을 찾아 박 청장은 인터뷰 내내 농업의 비전에 대해 강조했다. 생명공학 연구는 지금과 전혀 다른 농업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버리는 감귤 껍질로 만든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OECD)도 2030년을 기점으로 디지털 경제에 이어 바이오 경제시대가 본격화된다고
전망
한 바 있다. 농수산식품도 이런 흐름과 맞물려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 BT는 다른 기술과 달리 창조성이 중요한 분야라는 점도 한국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송 원장은 “한국이 바이오산업에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원에서 2010년 14조원으로 약 3배 가까이 늘었다. 2015년이 되면 73조 5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된다. 1997년 오송 오창이 국가 바이오산업단지로 지정되면서부터 충북은 생명산업을 꾸준히 육성해왔다. KTX 오송역과 청주IC, 청주국제공항 등 편리한 교통망까지 갖추고 있어 생명산업이 들어서기 최적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