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자"(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3
- 822개의 신경세포가 갖고 있는 차이점을 알기 위해 가바(GABA)수용체를 만드는 세포내 전사 인자들의 RNA 염기서열을 분석해 비교했다. 가바 수용체는 거의 모든 신경세포 위에는 흥분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바 수용체를 만드는 전사 유전자들의 RNA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했고, 그에 따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2018.09.18
- 종종 질병의 구체적 동인, 또는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그 질병과 관련 있는 환경적 인자를 알아내는 데 기여한다. - 올리버 색스, ‘색맹의 섬’ 2부 ‘소철 섬’에서 “누가 밝혀내든 관계없네. 난 그저 그때까지 살아있기를 바랄 뿐이야.” - 레너드 컬렌드 ‘종의 기원’을 내고 12년이 지난 187 ...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2018.09.11
- 15개로 이뤄진 꽤 큰 단백질을 지정하고 있었는데,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밝혀졌다. 즉 수십~수백 가지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라는 말이다. FOXP2는 특히 태아의 뇌조직에서 많이 발현되는데, 그 결과 언어처리를 담당하는 회로와 혀와 입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유전자는 KSN으로 꽃이 피는 걸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올드 블러시의 KSN 유전자에는 전이인자가 끼어 들어가 이 유전자가 고장 난 상태다. 그 결과 기온이 어느 정도 이상이면 주책맞게 계속 꽃을 피우는 것이다. 교배를 통해 올드 블러시의 고장난 KSN 유전자가 유입된 결과 현대장미(하이브리드 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잘 자라기 시작한다. 젖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자콥은 전사억제인자가 평소에는 필요 없는 젖당분해효소 유전자를 억제하고 있다가 환경의 변화(설탕 부재 젖당 존재)가 오면 억제가 풀리면서 필요한 유전자가 발현된 결과라고 가정했다. 두 사람은 이를 실험으로 입증했고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과정도 이 물질들로 설명할 수 있었다. 전사가 필요한 DNA에 TFIIIB가 붙은 뒤 TFIIIB 인자는 RNA 복제효소 Ⅲ가 쉽게 붙을 수 있도록 형태를 변형했다. 이번 표지는 이 과정의 한 순간을 표현했다. 녹색과 옥색 두 가닥으로 표현된 것은 DNA다. 전사가 필요한 위치에 TFIIIB 인자(붉은색)가 먼저 붙고 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들어있다. 물론 세포를 키운 뒤 모으고 남은 배양액을 다시 쓰는 (필요한 영양분과 성장인자를 더하고 노폐물은 없애서) 순환식 배양을 해야겠지만 이 과정의 비용도 만만치 않다. 기사에 따르면 줄기세포 인공혈액을 범용 수혈용 혈액으로 쓰는 건 아직 먼 얘기지만 특수한 용도, 즉 비용이 큰 ... ...
- 브라질의 숲에서 펼쳐진 ‘혹성탈출-종의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7.08.20
- 나타나며 입, 코, 눈,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간 기능이 저하돼 간에서 혈액응고 인자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독성기로 접어든 환자의 절반이 14일 이내 사망한다. 1940년대 이후 자취를 감췄던 황열병은 지난해 12월 다시 등장했다. 브라질 정부는 현재까지 130개 도시에서 792건의 확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2017.07.18
- 혈관을 타고 뇌로 들어가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같은 뉴로트로핀(neurotrophin)과 성장인자를 만드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해 그 결과 신경 생성과 시냅스 형성 같은 인지력 향상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즉 머리를 안 쓰는 운동을 하거나 몸을 움직이지 않는 정신 활동을 하는 게 나름 인지력 향상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개발했다. 1998년 트레이시 박사는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반응 촉진 물질인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작용을 억제하는 CNI-1493이라는 약물을 연구하고 있었다. 하루는 이 약물을 쥐의 뇌에 넣어 뇌졸중이 일어났을 때 항염증 효과를 보려고 했는데 뜻밖에도 몸 전체에서 TNF-α의 수치가 떨어지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