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 세상"(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2020.10.14
- 인류의 공동 번영을 위해 함께 나누어야 하는 공동의 지적 재산이다. 인간과 자연을 이해기 위해 필요한 기초과학의 증진을 위한 투자와 노력을 ...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 [인간 행동의 진화]귀여워지고 싶은 마음2020.10.11
- 외모, 그리고 유형화된 행동이 더 유리한 세상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귀여움을 권하는 세상이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20.10.08
- 늦게 ‘사이언스’에 투고한 논문이 빠르게 게재 허가를 받으며 먼저 세상에 나왔다. 이후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가 생명과학계의 스타가 된 사이에 ... 발명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이다. 그 외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인간이나 동물, 식물 세포 등 진핵생물에 적용해 실질적인 치료와 농작물 ...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동아사이언스 l2020.10.07
- 구조의 크리스퍼를 개발 중이고, 이를 바탕으로 완전히 새로운 도구를 세상에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다우드나 교수는 2012년, 연구실 동료였던 ... 함께 크리스퍼를 처음 고안한 주인공이다. 크리스퍼는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긴 DNA 염기서열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잘라낼 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2020.10.01
- 벌레)으로 동물을 분류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인간을 유인원과 함께 같은 속으로 분류했다는 점이다. 인간을 다른 동물과 같은 급으로 분류한 것은 린네가 ... 충분히 당황스러웠다. 그는 여전히 창조주가 세상의 모든 종을 만들었다고 생각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잡종이나 변종은 자연에 너무 ... ...
- [인간 행동의 진화]밤에 야식이 당기면 먹어야 끝난다 2020.09.20
- 여전히 같은 욕망에 시달리는 나약한 인간성을 통해 실존적 통찰을 얻기는 어려운 일이다. ... 하여 계속 갈망행동을 유지하려는 것이다. 세상에서의 성공도 마찬가지다. 국가든 기업이든 ...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베풀지 못하는 자는 남의 호의를 인식하지 못한다2020.09.19
- 말이 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타인과 세상이 달리 보일 수 있다는 말인데 해가 다르게 그 ... 되는 말이다. 늘 시니컬한 사람이 있었다. 세상은 썪었고 자신이 속한 집단들도 전부 부패했으며 주변 사람들도 다 하이에나 같은 비열한 인간들 밖에 없다고 했다. 서로를 배려할 줄 알고 ... ...
- 아이온큐 창업자 김정상 교수 "초능력 가까운 양자컴퓨터가 진화한 AI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2020.09.18
- 있다. 세계지식포럼 동영상 캡처 “히어로 영화를 보면 주인공들이 초인간적인 힘을 갖고 있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어떤 이들도 그런 능력을 갖고 ... “강력한 계산 능력으로 신뢰성과 예측력 높은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 세상에 가장 일조하는 부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최근 ... ...
-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2030년 사람 뇌와 AI 잇는 인터페이스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0.09.18
- 그 영향력이 커서 인간의 수명을 포함해 인간이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모든 개념에 변화가 ... 소개했다. AI와 같은 비생명체의 지능이 인간을 영생불멸의 길로 이끌 것이라고 예언해온 ... 등장해 실천을 통해 학습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바꿔나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커즈와일은 “‘실천하며 ... ...
- [인간 행동의 진화] 지루함, 쉽게 흥미가 사그러들 때2020.09.13
- 고든 차일드의 생각과 달리, ‘노동시간 단축’을 진보라고 생각하는 세상이다. 분명 인류 전체의 생산력이 낮아지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인류의 ... 분명 지루하지 않다면 게으름도 상당 부분 ‘치유’될 것이다. 도대체 인간은 왜 지루함을 느끼는 것일까? 자극 특이적 피로 동물의 행동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