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가"(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2015.03.23
- 지난해 보건당국은 간질이라는 병명에 사람들의 편견이 뿌리 깊게 박혀있어 뇌전증으로 부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름을 바꾼다고 뭐가 달라질까 싶지만 ‘누가 이름을 함부로 짓는가’라는 책 제목도 있듯이 작명은 꽤 중요한 것 같다. 최근 미국 보건당국은 ‘만성피로증후군(CFS, chronic ...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KOITA l2015.02.16
- 교수와 인디애나대 과학철학사 및 인지과학과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접근법’, 여러 사람의 행동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목표대로 생태계 조절력이 있을 정도의 숫자로 늑대가 복원된다면 이들이 먹이를 따라 인가 주변을 서성일 가능성이 높고 거칠고 날쌘 야생동물보다 훨씬 쉬운 먹잇감인 가축이나 가금류에 한 번 맛을 들이면 그 유혹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이들이 유일하게 두려워하는 대상인 ...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역할을 해주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자컴퓨터는 병렬컴퓨터인가? 여러 언론에서는 2013년부터 당장에라도 양자컴퓨터가 실용적인 수준에서 사용될 것처럼 보도하곤 했다. 최근 2년 들어 양자컴퓨터에 대한 대중적인 정보도 크게 늘었다. 심지어 '양자컴퓨터에 윈도 깔면 ...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2014.10.27
- 키가 커지는 현상이라는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출간된 책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키 증가 추세를 영양상태 개선만으로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크게 취해(High on Science)’를 그대로 썼다. 1권의 첫 에세이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는 디트리히 슈톨첸베르크라는 작가가 쓴 ‘화학자, 노벨상 수상자, 독일인, 유태인인 프리츠 하버(Fritz Haber)의 전기’에 대한 서평이다. 하버를 ‘인류의 적’으로 만든 게 1차 세계대전 당시 화학무기 ...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2014.08.04
- 받았다. - 강석기 제공 과학저술가라는 저자 로리 가렛(Laurie Garret)이 어떤 사람인가 궁금해 검색해보니 1976년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 발생과정을 용기있게 다룬 업적으로 1996년 퓰리처상까지 받았다. 즉 ‘The Coming Plague’의 노른자가 바로 에볼라인 셈이다. 아쉽게도 이 책은 ... ...
- [만화] 안전교육, 주방에도 필요하다!KISTI l2014.06.09
- 어쩔 수 없군요. 그렇다면 다른 요리! 우유와 시리얼 대령이오!” “음…, 이게 요리인가….” “정말 이러실 거예요? 흥!!! 어린이 대장금의 꿈은 접겠어요. 대신, 철저한 안전 의식을 가진 아빠가 싹 다 만들어주세요! 그게 영 어려우시다면 배달의 민족답게, 통 크게! 배달 음식 무한 주문권을 ...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KAIST l2014.05.16
- 경우는 ‘화석 원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기후변화 등의 환경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바이오연료가 일부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지금 생산되는 바이오에탄올은 좋은 연료가 아닌데, 무엇을 생산해야 할까? 가솔린이 좋기는 하지만 생명체 대사회로가 가솔린을 생산하게끔 디자인되어 있지 ... ...
- 게임 좋아하던 학생에서 게임 만드는 박사로KAIST l2014.05.14
- 운동하는 새로운 형태의 게임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Q. 러닝머신 게임은 어떤 방식인가? 러닝머신이 사람이 달리는 속도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두 명이 달리는 속도 차이를 이용해 방향을 조절하는 ‘오리배’게임 플랫폼을 개발하고 온라인상에 ... ...
이전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