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스페셜
"
선진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한다. 기업가정신은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서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방식이다. 그간
선진
국 “따라가기”와 일부 산업에서 “따라잡기”에 성공한 우리나라가 이제 “앞서가기”를 하려면 그 해결방안은 남보다 먼저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가는 것 밖에 없다. 이것은 기업가정신 없이는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신속 정확 제약 및 백신 개발과 생산 ▽질병진단 예측 시스템 ▽게놈 서열통한
선진
화된 의료서비스)가 보건건강과 관련된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바이오와 ICT를 베이스로 성장하면 충분히 시장성을 갖출 수 있다. 그는 "앞으로 바이오는 ICT를 베이스로 하지 않으면 도약이 불가능 하다"면서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7일 열린 ‘법과학·과학수사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개선 및
선진
화 방안 연구’ 토론회 모습. 각계 전문가가 패널토론자로 나섰다. 이상진 고려대 교수는 “생명과학기술은 물론 컴퓨터분야 법과학인 ‘디지털포렌식’ 역시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이승환 대검찰청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장기이식용 무균돼지의 모습. 동아일보DB 제공2만2928명. 지난달 기준으로 집계된 장기이식 대기자 숫자다. 해마다 장기를 이식받아야 하는 환자는 늘지만 기증된 장기의 수는 턱없이 부족한 게 우리 현실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고령화 추세가 빨라 장기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장기부전환자는 더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21.9%(53.5조 원)를 보건의료에 쏟았고, 유럽도 10.6%(13조 원)을 투자했다. 박 본부장은 “
선진
국에 비해 적지만 보건의료 분야 정부 연구비는 꽤 괜찮은 수준”이라며 “외국과 격차가 벌어지는 진짜 이유는 민간투자를 통해 짓는 연구소와 연구병원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해외는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생명공학의 미래를 위해서는 대형 융·복합 연구를 수행할 연구기관이 필요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그 역할을 맡게 될 겁니다.” 지난해 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새 선장으로 취임한 오태광 원장(59·사진)은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은 바이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1994년 개원 이후 한의학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체계와 방법을 찾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제는 한의학이 공공의료를 위해 어떻게 기여를 할 것인지 고민할 때입니다. 거시적 안목의 연구개발(R&D)을 하는 것이 첫 걸음일 것입니다.” 지난해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학연) 내에 새로 설립된 한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12.25
“성공이란 ‘조건’에 따라 바뀝니다. 경제성이나 학술적 가치, 어느 한 쪽이 높다고 무조건 성공이라기 말할 수 없지요. 문제는 어떤 성과라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 아닐까요?”(선경 고려대 의대 교수) “맞습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범위가 넓다보니 정보과학기술분야처럼 일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한국의 생명과학분야 연구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한국을 찾을 때마다 뛰어난 연구환경과 개별 과학자들의 우수성에 놀라곤 합니다. ‘창의적 도전’ 정신만 키운다면 세계 생명과학을 충분히 이끌어 갈 수 있을 겁니다.” 7번째로 한국을 찾은 199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르빈 네어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0.29
UNIST 제공 “최근 한국 과학자들이 줄기세포 연구분야에서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는 모습이 보기 참 좋습니다. 앞으로 기초가 되는 연구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면 더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겁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영국 케임브리지대 존 거던 교수(79)를 지난 18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