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스페셜
"
분열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로도 스마트 시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이용하여 터빈을 돌리는 장치다. 따라서 원자로에서는 늘 많은 열이 나오며 안전하게 핵
분열
반응을 유지하려면 원자로를 충분히 식혀주어야 한다. 보통은 원자로를 식히고 나온 뜨거운 물을 방류하지만 스마트원자로는 이를 이용하여 바닷물에서 민물을 만들어낸다. 냉각수로 바닷물을 사용하고,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이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은 노심냉각기능 확보 여부다. 노심은 원자로의 핵심 부분, 핵
분열
반응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따라서 큰 열이 발생하며 적절히 식혀주지 않으면 온도가 계속 올라가 노심이 용융하는 ‘멜트다운’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원자로 압력용기 및 압력관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세쌍둥이부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태어날 수 있다. 두 개의 난자가 수정되고 그 중 하나가
분열
을 하면, 이 세 쌍둥이는 이란성 쌍둥이와 일란성 쌍둥이가 되는 것이다. ● 이란성 쌍둥이는 모계 유전된다 ‘쌍둥이는 한 대를 걸러 태어난다’는 속설이 있다. 한 대를 걸러 발현되는 유전자가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발생된 신호의 왜곡이라고 결론을 지었다. 블랑케 박사는 “바로 이런 현상이 정신
분열
증의 원인을 해석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누군가 자신들을 쫓아오거나 해치려 한다고 생각하는 피해망상 증세를 고칠 수 있는 길이 이번 실험을 통해 열리기를 바란다.”라고 기대했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질문을 놓고 벌어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서 “환경 요인, 유전 요인과 함께 세포
분열
과정에서 임의로 일어나는 변이도 원인이라는 건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그 상대적인 중요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우리가 처음으로 그 일을 했고 암 발생에서 복제 변이의 비중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외부 항원이 침입하면 그에 결합하는 구조를 띠는 항체를 생산하는 면역세포가 왕성하게
분열
하게 된다는 것. 마찬가지로 신경회로의 발달 역시 선택을 통해 이뤄진다는 게 신경다윈주의의 핵심이다. 일란성쌍둥이라도 삶을 살아가는 경험이 다르므로 신경회로의 배선을 전혀 다르다는 말이다.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흉선으로 줄기세포가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흉선에 있는 줄기세포들이
분열
하면서 여전히 T세포를 공급했다. 신입사원을 안 뽑아도 회사는 굴러갈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곧 놀라운 현상이 일어났다. 즉 흉선에 있는 줄기세포의 일부가 암세포로 바뀌면서 백혈병이 생긴 것. 증상을 ... ...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선임연구원인 수지스 수데반(Sujith Sudevan) 박사의 역할이 컸습니다.” 수지스 박사는 이
분열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는데, 당시 이산화탄소 고분자 촉매 연구를 맡아 고활성의 촉매를 개발했다. 수지스 박사는 여러 종의 촉매를 합성한 후 분석 데이터를 이 교수와 논의했다. 그중 의도와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이상의 일들이 일어난다. 지난 10여년의 연구에 따르면 생체시계 유전자의 상당수가 세포
분열
이나 세포사멸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피리어드1이라는 유전자는 세포사멸을 촉진하는데 암조직에서는 발현이 떨어져있다. 피리어드2도 종양억제 기능을 하는데 유방암 조직에서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농도차에 의해 영양염류가 배양기 안으로 계속 유입되고 미세조류는 이것을 먹고 성장․
분열
해 개체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별도의 에너지 없이 미세조류를 경제성 있는 농도까지 농축시킬 수 있다. 반투과막은 구멍 크기가 매우 작아 배양된 미세조류나 생산된 지질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