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당
분배량
상
부담액
역할
책임
구전
스페셜
"
몫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있다. 결국 과학의 결과 자체는 가치중립적일뿐 이를 선용하거나 악용하는 건 사람들의
몫
이다. 과연 지능유전자 탐색이 그 결과를 악용할 여지를 줄지 지금으로서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저널리스트라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자신도 직접 뛰어들어 상황을 변화시키는 데 한
몫
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치나 사회도 아니고 과학 분야에서 사실만 충실하게 전달하면 되지 그 정도로 할 필요까지 있을까 하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지난해 한글판이 나온 책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삶 ... ...
미래 농산업
KOITA
l
2013.08.20
개방피해 보전과 같은 수동적인 정책보다는 수입농산물에 빼앗길 수밖에 없는 시장
몫
(Share)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열기 위한 능동적인 정책수단이 강화되어야 농업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농산물의 새 시장은 어디에서 열리고 있는가? 고품질 농산물 위주로 변하고 있는 ... ...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
2013.07.26
(The future is already here. it's just not very evenly distributed.) 다만 이를 인지하는 것은 우리의
몫
이라 할 수 있겠다. 들어가며 굳이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기술은 경제성장 및 사회 변화의 원동력이다. 예를 들어 반도체, 인터넷 등의 발명은 경제적 부의 창출과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
동아사이언스
l
2013.06.28
쓰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신뢰도를 100%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연구자의
몫
입니다.” ● “소재부터 개발해야죠.” 연구자들에겐 자신의 연구 분야만큼 중요한 분야는 없다. 그렇다고 대놓고 자신의 연구 분야가 제일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연구자도 드물다. 그러나 ... ...
창조경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새로운 성장전략
KOITA
l
2013.06.13
있는 중이다. 둘째, 정부와 민간의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도 미래창조과학부의
몫
이다. 정부와 기업의 협력시스템을 구축하고, 산학연 협력을 위해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다. 셋째, 창조경제의 핵심은 창업이라는 점에서 창업을 활성화하고 상생협력을 지원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철학을 아우르는 최고의 명저라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다. 물론 격조 높은 책 제목도 한
몫
했겠지만. 필자는 수년 전 헤모글로빈의 구조를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막스 페루츠의 과학에세이집 ‘과학자는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에서 프랑수아 자콥의 삶을 다룬 한 장을 인상 깊게 읽은 ... ...
게임 산업과 아타리 쇼크
KOITA
l
2013.05.03
가정용 게임기 시장이 확대되면서 게임 타이틀은 수백만 장씩 팔려나갔지만 개발자의
몫
은 터무니없이 적었다. 아직 IT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도 않았던 시절이라 워너의 경영진이 개발자의 가치를 낮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게임 개발에 대해 이해하기는커녕 자신의 제품인 게임을 즐겨본 적도 ... ...
세상은 여성 과학기술인을 기다린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도입해 여성에게도 적극성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은 '과학은 여자들의
몫
(Science, It's A Girl Thing)'이라는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출을 장려하고 있다. 지난 2010년 발표된 '이공계 여성, 왜 이리 적은가(Why So Few? Women in STEM)'라는 보고서는 과학기술 분야 ... ...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관련 역사 유적도 즐비하다. 그렇기에 이 섬에 숨겨진 진기함은 캐내는 사람의
몫
이다. 오죽하면 보물이 가득한 섬이라 해서 ‘진도(珍島)’라 불렀겠는가. “소장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칠천량(현재 경남 거제도 인근 해협)에서의 대승에 도취한 왜군 함대 133척은 조선 수군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