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휴먼"(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체 냉동보존 기술, 장기 이식에서부터 활용 가능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8.01.15
- 시작한 휴먼하이테크의 최고기술책임자(CTO)다. 기술·교육 서비스 공급업체인 휴먼하이테크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크라이오러스의 인체 냉동보존 서비스를 한국에 론칭할 계획이다. 크라이오러스는 미국의 앨코어(Alcor), 크라이오닉스 인스티튜트(Cryonics Institute)와 함께 세계 3대 인체 냉동보존 ... ...
- 어떤 장내 미생물이 몸에서 빨리 변이를 일으킬까동아사이언스 l2017.10.08
- 촬영한 뒤 색을 입힌 모습이 담겼다. 2012년부터 시작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의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의 유전정보 전체를 일컫는다. 질병에 대한 면역과 세포의 기능, 종 다양성 등 미생물이 인체에 미치는 ... ...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10.02
- 가운데 7개가 표지층으로 부직포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휴먼융합기술그룹장은 “부직포에는 미세한 구멍이 많아 혈액을 잘 통과시키고 흡수한다”며 “이로써 피부에 직접 닿는 면을 보송보송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 중 3개는 순면이 아닌 ... ...
- 수술 도중 마취 깨는 ‘각성 사고’ 원천방지 가능해졌다동아사이언스 l2017.08.04
- GIB 제공 수술 도중 환자가 갑자기 마취에서 깨어나는 ‘수술 중 각성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의식의 깊이를 숫자 ... 개척할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휴먼 브레인 맵핑’ 9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 ...
- “광주과학기술원 ‘GI 캠퍼스’를 4차 산업혁명 요람으로”동아사이언스 l2017.06.14
- 생로병사를 해결하기 위해 뇌 연구를 해야 하며 인간의 능력을 한 단계 높이는 트랜스휴먼 엔지니어링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으로 인류가 멸망한다는 것은 너무 비관적이죠. 밝은 미래를 생각하고 이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실천한다면 원하는 사회가 올 것입니다.” ... ...
- [WWDC 2017 ⑤] 앱에게 디자인은 뭘까? 2017.06.11
- 연다. 올해도 ‘애플 디자인 어워드(Apple Design Award, ADA)’가 열렸다. 이 상은 1997년 휴먼 인터페이스 우수상(Human Interface Design Excellence, HIDE Awards)으로 시작해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애플은 ADA를 통해 잘 만든 앱을 소개하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애플이 바라는 그 해 앱 디자인의 흐름을 잡기도 한다. ... ...
- [ESC의 목소리 (12)] 과학교육을 다시 생각한다2017.05.08
- 통제하기 어려운 기계적 지능이 등장이 예고되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조만간 ‘포스트 휴먼’이라는 화두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시점으로 향해 가고 있는지 모른다. 이러한 전환의 시점에서 과학기술 활동은 높은 창의력과 더불어 인간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요구 받고 있다. 즉 이러한 ... ...
- [황금연휴에 아이랑뭐하지?②] 미래직업 궁금한 청소년이라면, 미래상상 SF관으로!동아사이언스 l2017.05.03
- 단장해 문을 연, 미래 가상체험 전시관입니다. 미래상상 SF관은 미래세상, 우주시대, 휴먼과 에일리언, 미래직업세상이라는 4개의 테마관과 미래상상정보관, 기업체험관, 한국 SF역사관, 과학이벤트관(SF스테이지), 체험한마당이라는 5개의 특성화관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중 기업체험관에는 얼마 ... ...
- 파키스탄 ‘근친혼’ 자손이 알려준 인간 유전자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13
- 같은 유전자교정 기술을 이용해 제거한 뒤 기능변화를 살피는 식으로 진행됐다. ‘휴먼 녹아웃 프로젝트’ 연구진은 이와 달리 돌연변이를 가진 인구를 찾아 기능을 분석하는 방식을 택했다(b). - 네이처 제공 실제로 연구진은 이를 통해 6개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우선 ‘APOC3’라는 ... ...
- 국내 최연소로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3.20
- 서울대 화학부(유전공학연구소) 교수(32)가 17일 연구책임자(PI)로서는 국내 최초로 ‘휴먼 프런티어 사이언스 프로그램(HFSP)’의 2017년 연구비 지원 대상자에 선정됐다. 그는 한국인 과학자 중 최연소 HFSP 수혜자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2015년 곽지현 고려대 교수와 지난해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