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철학자"(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은 두 번 이상 받을 수 없다”, 진실 혹은 거짓?동아사이언스 l2015.10.03
- 못했다. - 노벨상위원회 제공 노벨상 수상을 거부한 사람들도 있답니다. 바로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1964년, 노벨 문학상)와 레득토(팜딘카이, 1973년, 노벨평화상)입니다. 사르트르는 노벨상의 서양 편중, 작가의 독립성 침해, 문학의 제도권 편입 등을 반대하기 때문에 이미 다른 모든 ... ...
- [지금 SNS에서는]모여라, 수포자들동아일보 l2015.09.11
- 역시나 부족합니다. 그 대신 태도(Attitude)가 100점(1+20+20+9+20+21+4+5)입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수학을 알지 못하는 자는 참된 지혜를 얻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우리 태도, 그러니까 마음가짐만이 삶의 만족도를 결정한다는 걸 이번에도 수학은 알고 있던 겁니다. 누군가는 못 배웠기 ...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08.27
- 유용하게 쓰였고, 유율에 대한 논문은 1820년 이후 영국에서조차 골동품 취급을 받았다. 철학자들의 분쟁이 이어지면서 뉴턴의 이름이 프랑스 잡지에 등장하기 시작했고, 뉴턴의 입지는 점차 확고해졌다. 결론은, 라이프니츠는 잃었고 뉴턴은 얻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9월호 ...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2015.08.09
- 보인다. 우주는 처음 어떻게 생겨서 이토록 많은 별을 낳게 된 걸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도 같은 의문을 품고 우주의 기원을 밝히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타난다. 당시만 해도 사람들이 생각한 우주의 모습은 태양을 비롯한 천체가 지구 중심을 돈다는 것. 하지만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2015.07.27
- 어원(atomoi, 자를 수 없는)의 관점에서 완결지은 사람이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철학자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가 제안한 원자는 19세기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에 의해 과학이 됐지만, 1897년 영국의 물리학자 J. J. 톰슨이 전자를 발견하면서 잘못된 명명으로 드러났다. 1911년 뉴질랜드 태생의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06.29
- 없다는 얘기다. 인공지능은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지능 중 하나다. 그러나 과학철학자 다니엘 데닛은 저서 ‘의식에 대한 설명’에서 “마법의 불꽃이나 영혼이 없다면 인간은 기계에 불과하다”며 “인간이라는 기계가 지능에 대해서만 다른 기계와 다르게 특별취급 받아야 할 이유가 ... ...
- 수 만 가지 음식, 맛은 비밀은 어디서 오는 걸까2015.03.15
- 살아가는지, 그들의 생활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책의 제목 ‘새의 감각’은 1974년 철학자 토머스 네이글이 던진 질문이자 유명한 논문 제목인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를 모토로 빌려왔다. 그러나 토머스 네이글의 철학적 논문과 달리 이 책은 과학적 탐구를 바탕으로 새에 대한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2015.02.15
- 지속되다가 상보성과 불확정성 원리라는 양자역학의 심장까지 이른다. 보어는 철학자의 분위기가 강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인지 보어의 강연은 매우 애매모호한 것으로 유명했다. 1927년 9월 볼타 사망 100주년 기념학회에서 보어는 상보성과 불확정성 원리를 처음 소개했다. 그때 좌중에 앉아 ...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2015.01.05
- 크기 때문이라고 하면 되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리처드 다위드(Richard Dawid)는 한 발 더 나아가 끈이론처럼 아름다운 이론은 굳이 실험으로 증명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 즉 지난 30년 동안 더 나은 대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까지 ...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 이때 인연을 계기로 김 교수와 이 철학자는 종종 만났다. 김 교수는 아메리카노를, 철학자는 에스프레소를 마시며 두 사람은 이미 멀리 분화한 생물학과 미학 사이에 사실 접점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 당시의 이야기를 김 교수는 저서에 그대로 녹여냈다. 바이오사이언스출판 제공 “그러니까, ... ...
이전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