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일문"(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듣는다 13] “세계 200위권 명문대 20개 육성해야”2015.06.03
- 2030’도 소개했다. 강연이 끝난 뒤 부 회장과 전화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을 강조했는데, 어떤 것인지요.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은 200위권에 드는 세계적인 명문대학을 말합니다. 이 정도 순위에 들었다는 것은 강력한 연구역량을 가졌다는 ... ...
- [미래를 듣는다 12] “대학의 본질은 교육”2015.06.01
- 교육혁신방안도 제시했다. 강연이 끝난 뒤 신 총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세계 명문대는 학부교육을 중시한다고 하셨는데, 사례가 궁금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4년제 사립공대인 하비머드 컬리지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 학교는 미국에서 ... ...
- [미래를 듣는다 11] “‘하이리스크-하이리턴(고위험 고수익)’ 연구에 도전해야” 2015.05.26
- 때”라고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 박 원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구글X의 협력을 예로 들어 국가 연구소와 민간 연구소가 점점 협력하는 추세라고 하셨습니다. 국내 연구도 이 방향으로 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시는지요. “개방형 혁신 ... ...
- [미래를 듣는다 10] “SW 중심사회에 맞는 새로운 대응 필요”2015.05.25
-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소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SW는 인류역사 상 최고의 기술이라고 하셨는데요, 결국 미래를 변화시키고 책임질 기술이 SW라고 생각하는지요. “SW 기술은 우리 생각을 자동화하는 기술입니다. 모든 산업에서 새로운 ... ...
- [미래를 듣는다 9]“사회 변화 따라가는 인재로 성장해야” 2015.04.30
- 한다”고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 이 처장과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이번 포럼에 참여한 계기가 있는지요. “최근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사회적 컨센서스(consensus)가 생긴 것 같습니다. 그래서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뿐 아니라 여러 곳에서 강의 요청이 오고 ... ...
- [미래를 듣는다 8] “사회 갈등 극복하려면 낮은 수준의 복지 해결해야”2015.04.28
- 있다“고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 오 의원과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한국 사회에서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사회갈등은 무엇인지요. “남북갈등, 지역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을 4대 주요 갈등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강연에서 말했듯 이 갈등을 불러온 ... ...
- [미래를 듣는다 7] “‘울산의 눈물’ 막을 길은 과학기술 혁신과 도전” 2015.04.27
- 않는다”고 지적했다. 강연이 끝난 뒤 박 원장과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이번 포럼의 주제는 ‘갈등’입니다. 사회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이념, 빈부차 등 우리 사회의 갈등 요소는 많습니다. 하지만 제가 꼽는 요인 중 하나는 ‘사농공상 ... ...
- [미래를 듣는다 6] “사회 갈등 해결할 내적가치 찾아야”2015.04.20
- 한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씨와 만나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이번 과총 포럼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있어서 자연스럽게 포럼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사에 유래 없는 발전 기록을 갖고 있지요. 6· ... ...
- [미래를 듣는다 5] “보건의료분야 교류, 통일 위한 중추역할 할 것”2015.04.08
-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위원장과 추가로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이 통일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 ...
- [미래를 듣는다 4] “독일 통일,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해야”2015.04.06
-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전 총리와 만나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독일 통일의 원동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무리 봐도 독일 통일은 사람의 노력이 아니라 하늘의 뜻, 신의 섭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동독 주민들에 의해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지만 독일 ... ...
이전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