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공환경"(으)로 총 2,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행 불편한 고령자 의도 읽는다…속도조절·경사로 인식 보행보조 로봇동아사이언스 l2025.06.11
-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이 공동 개발한 보행 보조 로봇 '적응형 워커'와 각 부분에 장착된 센서들.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부분에 촉각센서가 부착됐고 워커 몸체에는 관성 센서가 달렸다. 뒤쪽 바퀴에 부착된 회전 모터로 워커의 속도를 조절하고 로봇의 네 다리에 ... ...
- 나라스페이스, 경기도 기후 감시 위성 제작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6.11
- 나라스페이스가 계획 중인 경기샛 개념도. 나라스페이스 제공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나라스페이스)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기후 위기 대응 전용 인공위성 ‘경기 기후 위성(경기샛)’의 제작·운용 파트너로 최종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나라스페이스는 서울대 기후연구실과 협력해 총 3기의 ... ...
- '대상' 상금 4억·신산업 인재 포상 신설…한국공학한림원, 포상사업 개편동아사이언스 l2025.06.11
- 한국공학한림원 로고.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한국공학한림원(이하 공학한림원)이 창립 30주년을 맞아 공학기술 분야 포상 제도를 대폭 개편하고 신산업과 소재·부품·장비 분야 인재 발굴을 위한 새로운 상을 신설한다. 공학한림원은 기존 ‘대상’과 ‘젊은공학인상’의 운영방식을 조정하고 ‘ ... ...
- 진짜 뇌 같은 3D프린팅 인공 뇌 개발…알코올 주입하자 치매유발 단백질 늘어동아사이언스 l2025.06.11
- (왼쪽부터)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장진아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교수, 김정주 박사, 배미현 박사. 포스텍 제공. 3D 프린터로 만든 뇌 모델에서 뇌 신경 신호 흐름과 퇴행 반응이 재현됐다. 개발된 모델은 뇌 질환 실마리를 찾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스페이스버드]③ "땅 속 물, 위성이 찾아낸다?"…NASA '스맵' 미션 함께하는 GIST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5.06.11
- 현장 미션에 참가하기 위해 GIST를 찾은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는 대한민국 미래 우주인을 발굴하고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2024년부터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주최합니다. ... ...
- [과기원NOW] KAIST, 배터리·전기 없이 이산화탄소 실시간 모니터링 성공 外동아사이언스 l2025.06.09
- 왼쪽부터 장규림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사과정생, 권경하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권경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류한준 중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주변의 미세 진동에너지를 수확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 ... ...
- [사이언스게시판] KISTI-유네스코, 오픈 사이언스 국제협력 본격화 外동아사이언스 l2025.06.09
- 6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오픈 사이언스 협력 강화를 위한 고위급 출범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KISTI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는 6일 유네스코(UNESCO)와 함께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오픈 사이언스 협력 강화를 위한 고위급 출범행사'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행사는 ... ...
- 심방세동, ‘피 한 방울’로 예측한다…AI 예측모델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6.09
- 혈액을 분석해 심방세동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심방세동을 느끼는 사람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혈액을 분석해 심방세동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연세대 의대는 정보영·김대훈·박한진 교수와 양필성 의생명과학부 조교 연구팀이 혈액 속 단 ... ...
- 전기연, 열전발전 산업화 디딤돌 마련동아사이언스 l2025.06.09
- 박수동 전기연 책임연구원팀이 열전발전 파워 모듈을 실증 및 평가하고 있다. 전기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열전발전' 성능을 평가하는 데 참고할 기준 체계를 확립했다. 열전발전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 접점 사이에서 생기는 온도 차를 이용해 전기로 만드는 기술이다. 열전발전 ... ...
- 전세계 GPU서버 전력소비량, 한국 1년 전체 전력소비량과 맞먹어동아사이언스 l2025.06.06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 확산 이후 전세계 기업에서 사용 중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의 전력소비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디지털 기업이 GPU 서버로 소비하는 전력량은 2017년 2테라와트시(TWh)에서 2023년 581TWh 이상으로 20배 넘게 증가했다. 디지털 산업 전반의 전력 소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