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융합"(으)로 총 3,758건 검색되었습니다.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5.01.21
- 핵의학 분자영상과 공간전사체 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해 의료영상과 융합하는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의학적 진단과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 교수는 2021년 기술 창업을 통해 AI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과 혁신적인 항암 ...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동아사이언스 l2025.01.21
-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김경미 교수는 “eCas12f1에 탈아미노효소나 전사조절인자를 융합함으로써 아데노신 염기 편집과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eCas12f1은 작은 크기와 강력한 유전자 교정 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전자 치료제 개발과 생명공학 응용 ... ...
- 국내 첫 RSV 백신 출신…지속기간 길고 성인 대상동아사이언스 l2025.01.20
- 이름을 올렸다. 아렉스비는 올해 중경 국내 시판될 전망이다. RSV 감염증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이다. 성인은 콧물, 기침, 가래, 코막힘, 쉰 목소리, 쌕쌕거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영유아는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RSV는 만 2세 ... ...
- AI 유전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동아사이언스 l2025.01.20
- Edit), 모사‧합성(Write), 예측‧시뮬레이션(Imagine) 4가지 분야로 구분됐다. AI와의 융합을 통해 반복적인 실험과 관찰 중심의 기존 연구에서 데이터 기반의 예측·추론으로 변화한 것이 핵심이다. 2025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과기정통부 제공 생명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찰‧분석 영역에서는 ... ...
-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동아사이언스 l2025.01.17
- 없이 세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의 장점을 융합하기 위해 ‘설명가능한 딥러닝(XDL)’ 기법을 활용했다. XDL은 기존 딥러닝 기술과 달리 변환 내부 과정을 시각화해 학습에 반영하기 때문에 더욱 신뢰도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단일 파장의 MIR-PAM ... ...
- [과기원NOW] 포스텍, AI로 3D 메타물질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1.16
-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양 대학은 협약 체결을 통해 바이오 분야 융합연구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공동연구 협력을 진행한다. 단기간에 세계적인 바이오 분야 가치 창출을 기대하며 국내 대학 간의 공동협력의 중요한 모델과 이정표를 제시하게 될 계획이다 ... ...
- 항암제 안 통하는 췌장암, 빛으로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1.16
- 자가포식소체는 세포 노폐물이 일시적으로 격리되는 장소로, 자가포식소체와 리소좀 간 융합이 일어나야 자가포식이 시작된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가포식으로 약물 내성이 생긴 주요 난치암 치료에 도움이 될 것” 이라며 “연구에 활용된 항암제인 젬시타빈 이외에 다른 항암제들과의 ... ...
- 합성가스를 에탄올로 바꾸는 '미생물 대사전환'동아사이언스 l2025.01.14
- 한국연구재단은 장인섭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와 최인걸 고려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합성가스와 C1 가스(탄소 개수가 1개인 가스) 미생물 발효'에 필요한 단일 화합물 생성 및 고급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합성가스 발효는 미생물을 생촉매로 ... ...
- 인공장기 손상 없이 전기생리신호 측정동아사이언스 l2025.01.14
- 연구팀이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아젠다연구부 부장 연구팀, 이미옥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오가노이드의 비침습적 전기생리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고신축성 돌출형 미세전극 어레이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인간에서 ... ...
- [과기원NOW] KAIST 총동문회,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자 선정 外동아사이언스 l2025.01.13
- 13일 밝혔다. 김 교수는 효소 단백질 공학 분야의 세계적 연구자로 생명과학과 화학의 융합을 통해 효소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하며 독창적인 성과를 쌓아온 것으로 평가된다. 공학한림원은 학문적 업적, 기술 개발 성과, 산업 기여도, 인재 양성 등 여러 분야 성과를 종합적으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