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물리학에서 빛이 직진한다는 과거의 진리가 아인슈타인에 의해 아주 인력이 큰 물체
옆
을 지나가는 경우 빛도 굽어진다는 것으로 수정되기는 했지만 과학법칙은 그 이유를 분명히 설명할 수 있다. 기존의 법칙에 어긋하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는 ... ...
로봇기업으로 거듭나려는 네이버…뉴욕타임즈 이례적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18
때 사람이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지 연구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버튼 반대편 입구
옆
코너가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엘리베이터 내에서 로봇이 사람 뒤에 위치하면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낀다는 결론이다. 네이버 로봇의 특징 중 하나는 ‘두뇌가 없다’는 점이다. 대신 중앙 집중식 ... ...
사람과 로봇, 가상세계가 연결된 미래는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선보였다. 임 책임연구원은 “사람이 휴머노이드에 증강돼 실제 존재하진 않지만 바로
옆
에 있는 것처럼 소통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김익재 소장은 다수의 폐쇄회로(CC) TV 영상 내에서 보행자의 신원식별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복합인지기술기반 신원식별추적기술'을, 이종원 ... ...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연구위원과 김성현 선임기술원의 안내를 받아 예미랩을 구석구석 둘러봤다. 중앙 통로 양
옆
에 거대한 굴이 늘어선 모습이 거대한 개미집에 들어온 것 같았다. 김 선임기술원은 “땅을 판 다음 콘크리트에 물을 섞어 분사해 벽을 만들었다”며 “벽에 흰색 특수페인트를 발라 미처 차단하지 못한 ... ...
"전기자극으로 척수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환자를 위한 EES 치료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전기자극을 주는 위치를 척추 뒤에서
옆
쪽으로 바꿔 개별 신경까지도 자극할 수 있도록 하거나 태블릿을 이용해 환자가 원하는 움직임의 형태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신호가 복부에 이식한 신경자극기로 전달돼 필요한 근육이 움직이는 시스템을 ... ...
가려진 붉은 달
옆
으로 고개 내민 천왕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개기월식 순간의 달과 왼쪽에 천왕성. 천문연 제공 8일 저녁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진 달이 다시 천왕성을 가리는 드문 천문현상이 관측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박영식 천문연 책임연구원이 촬영한 개기월식 순간의 달과 천왕성의 사진을 8일 공개했다. 이날 저녁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쓰고 있다. 연구원이 노트북을 조작하자 실험 쥐는 먹이 먹는 행위를 멈췄다. 케이지
옆
에 놓인 컴퓨터 화면에서는 실험 쥐의 뇌 신호가 변했다는 그래프가 요동치고 있었다. 뇌공학연구실을 이끄는 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는 “쥐가 쓰고 있는 모자는 바로 ‘브레인칩’”이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청개구리’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코스타리카에 서식하는 청개구리를 표지에 실었다. 청개구리
옆
에는 커다란 글자로 ‘열 스트레스(HEAT STRESS)’라고 적었다. 한눈에 봐도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청개구리와 같은 생명체를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려고 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요한스 ... ...
'공 굴리며 좋아했지'…호박벌도 놀며 즐길 줄 안다
연합뉴스
l
2022.10.28
한 공간에 호박벌 45마리를 풀어놓고 먹이가 있는 곳에 방해받지 않고 곧바로 기어가거나
옆
으로 벗어나 나무 공을 갖고 노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나무 공을 단 한 번만 굴리고 만 개체가 있는가 하면 많게는 117번이나 굴린 개체도 있었는데, 공을 반복적으로 굴리는 것은 무언가 보상을 ... ...
머릿속 상상으로 작동하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경기장 바깥에서는 사람들의 함성소리들을 구분할 순 없지만 경기장 안에 들어가면
옆
의 관중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 있다고 비유했다. 연구팀은 측정한 상상 뇌 신호에 기계학습 기법을 더해 측정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환자가 상상한 팔 뻗기 방향을 약 80%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