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둠
컴컴함
암흑계
불투명체
야음
어두움
검음
뉴스
"
암흑
"(으)로 총 32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비밀 밝힐 ‘초대형 입자 충돌기’ 한국 기술로 업그레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측정하는 연구 등을 해왔다. 또 표준모형을 확장할 초대칭이론의 가능성을 탐색하거나,
암흑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도 해왔다. 양 교수는 “아직 LHC 데이터의 5%밖에 받지 못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나머지 95%의 데이터를 분석해 한국이 강점을 갖는 힉스 입자나 중성미자 등의 분석을 이어갈 ... ...
[주말N수학]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11.30
비해 10배 이상 크다는 뜻입니다. 이를 통해 왜소은하에는 인류의 기술로 관측되지 않는
암흑
물질이 별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 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와 함께 하는 왜소은하 찾기 프로젝트 과학동아천문대와 수학동아는 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와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비판하는 수단으로 여전히 ‘100억원’이 활용되는 것도 아이러니라 할 수 있습니다.
암흑
물질과 중성미자를 연구하는 김영덕 지하실험연구단장과 같은 본원 단장은 물론, 인류 조상의 이동과 기후변화의 인과관계를 연구하는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 등 외국인 단장들은 과학의 ... ...
[프리미엄리포트]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2019.11.23
새로운 가정이 정밀한 수명 측정 과정에서 실제로 관측된다면 어떻게 될까. 중성자가
암흑
물질과 반응한다면 이는 지금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빅뱅 우주론에 커다란 충격을 줄 것이다. 더 정밀한 중성자의 평균수명 측정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1월호,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임상시험의 허가를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22년 동안의
암흑
상태에서 한줄기 빛이 비춰진 것이다. 참고로 실로시빈을 택한 건 세 글자를 보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에게 경기를 일으키는 LSD를 쓸 경우 신청이 탈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06년 폴란에게 온 ... ...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학계 갈등 커져
2019.11.12
점이다. 특히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반복적으로 데이터로 얻어야 하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등 연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군집위성을 운용하려는 스페이스X나 원웹 등 민간 우주기업들이 위성 궤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는 ... ...
속속 완공되는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관측장비..2020년 초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실험을 진행 중이다. 비활성 중성미자는 다른 입자와 상호작용이 없고 질량은 커서 제3의
암흑
물질 후보로 꼽힌다. 원자핵 붕괴 과정에서 생성될 것으로 추정되는 중성미자를 관측해, 그 가운데 비활성 중성미자가 만들어지는지 확인한다. 중성미자는 3가지 형태의 비율이 수시로 변하는 특이한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물리적 과정과 우주의 95%를 구성하지만 아직 정체를 알지 못하는
암흑
물질 및
암흑
에너지 연구에 공헌했다는 것이다. 피블스 교수의 또 다른 업적은 빛으로 수백만∼수천만 년 가야 하는 거리에 걸친 우주거대구조 연구를 설계했다는 점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우주의 시초에는 주변과 밀도가 1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라는 이름이 붙었다. 엘로디는 1994년 망원경에 설치됐다. 이 시기는 외계행성 분야의
암흑
기였다. 마요르와 쿠엘로보다 먼저 관측과 연구를 시작했던 다른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은 현재 기술로 관측할 수 있는 곳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엘로디로 관측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30년이 지난 후에는 수백만 개의 은하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측되어
암흑
물질 및
암흑
에너지 정체규명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피블스는 이러한 관측을 어떤 방식으로 분석해 이론모형을 검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도 연구하는데, 그가 도입한 자료분석 통계법은 지금도 크게 바뀌지 않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