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보라
폭풍우
호우
뉴스
"
비바람
"(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흡착식 냉난방기에 필요한 흡착제인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 소속 한국화학연구원 올레핀분리팀. 남윤중 제공 기상이변과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에어컨 사용량이 급격히 늘고 있다. 2018년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별자리가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600년경의 그리스 와인잔. 존 반스 제공 2020년은 코로나-19가 극성이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가장 큰 공공보건 상의 감염 위기는 인플루엔자였다. 매년 평균 40만 명 가까이 인플루엔자가 감염되어 숨졌다. 특히 65세 이상에게 대단히 위험하다. 미국에서만 매 ... ...
동해? 한반도 관통? 한·일 기상청의 엇갈린 제10호 태풍 진로 예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진로가 4일 예보보다 다소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한반도 동쪽 동해를 지날 것이라고 기상청이 6일 10시 예보했다. 다만 일본 같은날 9시 30분 기상청은 여전히 한반도 동부를 관통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아래 사진). 기상청 제공 한반도를 정확히 관통할 ... ...
10호 태풍 ‘하이선’ 따뜻한 바닷물서 힘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9월 3일 기준 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 분포도. 기상청 제공. 제9호 태풍 마이삭은 제8호 태풍 바비에 이어 ‘강한’ 태풍으로 발생해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북상하며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했다. 그나마 한반도에 접근하는 2일 18시부터 위력이 ‘매우 강’에서 ‘강’으로 바뀌었고 3일 오전 6시 ... ...
한·일 긴장시키는 태풍 ‘하이선’ 7일 한반도 접근...‘매우 강’ 상태 유지한 채로 북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예정이다. 6일 밤 전국적으로 비가 내릴 예정이며 한반도에 상륙하는 7일에는 강한
비바람
이 전국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 ...
태풍 ‘마이삭’ 북상..."3일 새벽 세력 차츰 약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격상하고 중대본 비상대응 수위도 가장 높은 3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강한
비바람
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태풍이 바닷물 수위가 높은 백중사리 기간 만조 기간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돼 선제적으로 대응 수위를 높였다고 밝혔다. 태풍 마이삭은 2일 저녁 제주도 동쪽 해상을 ... ...
태풍 '마이삭' 내달 3일 부산 인근 상륙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제9호 태풍 마이삭 이동경로. 기상청 날씨 누리 제9호 태풍 '마이삭'이 2일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9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3㎞의 느린 속도로 동진 중인 마이삭은 최대 풍속 초속 32m(중급)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을 ... ...
더 세진 태풍 ‘바비’ 오늘 저녁부터 영향권...최대 풍속 초속 60m '역대급' 여전히 유효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제8호 태풍 '바비'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가운데 25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가에 강한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제8호 태풍 ‘바비’가 26일 오전 9시 30분 기준 제주 서귀포 남서쪽 약 210km 해상에서 북상중이다. 제주도와 전남 해안 일대에 태풍 특보가 발효됐다.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연합뉴스 제공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일부인 한반도 장마는 올해 강력했고 1973년 이래 가장 길었다. 기록적인 폭우는 전국적인 산사태, 홍수, 인명 피해로 이어져 큰 피해를 낳았다. 이번 장마가 이례적으로 강했던 것이 지구온난화 때문일까? 간단하게 답하자면 ‘아니다.’ 지난 100년 동안 지 ... ...
'사람도 날릴 위력' 태풍 ‘바비’ 제주도 인근 북상...수해 추가 피해·낙하물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태풍 '바비' 예상 경로. 기상청 제공. 최대 순간풍속이 초속 40~60m의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 ‘바비’가 25일 제주 인근으로 북상해 밤부터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이다. 25일 기상청은 새벽 4시를 기해 제8호 태풍 바비가 서귀포 남쪽 약 530km 부근 해상으로 북상해 15시 서귀포 남남서쪽 약 390km 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