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놈
사람
남자
작자
싫은 놈
괴짜
인간
뉴스
"
녀석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작은 몸집에 털도 하얘 정말 귀엽다. 애완동물로도 손색이 없을 것처럼 보이는 이
녀석
들이 실험으로 희생된다니 안됐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럼에도 필자에게 생쥐는 만만치 않은 동물이어서 솔직히 만져보지도 못했다. 생긴 것과는 달리 성격이 사나와 어설프게 집으려고 했다가는 물리기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 위키피디아 제공 하루는 제비 새끼 한마리가 둥지 밑으로 떨어진 적도 있었다. 그
녀석
한테 파리도 잡아 먹이며 한참을 데리고 놀다 다시 올려준 기억이 난다. 가을이 오고 어김없이 제비는 둥지를 뒤로 하고 갈 길을 떠났다. ‘내년에 다시 올까?’ 이듬해 봄 어느 날, 놀랍게도 정말 제비가 ... ...
‘휴보’가 ‘로봇 태권브이’에게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그럴 때마다 되고 싶은 사람이 바뀐다. 판타지나 로봇 애니메이션, 레고를 좋아하는 아들
녀석
에게 앞으로 뭐가 되고 싶냐고 물어보면 자주 바뀌긴 하지만 ‘과학자’라고 대답할 때가 가장 많다. 이럴 때마다 어렸을 적 ‘로봇 태권브이’를 보며 나중에 어른이 되서 꼭 만들고 싶어 했던 필자의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새도 있듯이 파란색 깃털도 있다. 척추동물은 파란색 색소를 못 만드는데 도대체 이
녀석
들은 무슨 재주로 이런 마술을 부리는 걸까. 참새도 그렇지만 닭이나 꿩 등 많은 새(특히 암컷)의 갈색이나 검은색 계열 깃털은 여전히 멜라닌을 이용한다. 그러나 페오멜라닌으로도 선명한 빨간색은 낼 수 없고 ... ...
지구사랑 뜨거운 열기, 겨울 추위 녹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01
서울 신가초 4학년 강우진 군은 “비록 수원청개구리를 찾지는 못했지만 통통하던
녀석
이 길쭉하게 늘어나는 거머리 등 다양한 생물을 만나서 좋았습니다”라고 말했다. 과학동아천문대를 방문해 즐거워하고 있는 2013 지구사랑탐사대 1기 탐사대원들. 동아사이언스가 이렇게 멋있고 근사한 ... ...
11월의 아이손, 나도 한번 찍어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러브조이가 발견한 또 다른 혜성이다. 또 하나는 리니어 혜성(C/2012 X1)이다. 이
녀석
은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을 탐지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LINEAR 프로젝트팀이 새로 발견한 여러 혜성들 중 하나다. 러브조이 혜성에 붙은 C/2013의 뜻은 C는 혜성을 뜻하는 영어 단어 Comet의 약자이고, 2013은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지구에서 매우 가까워지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크게 보일 것이다. 물론 이 혜성이 이상한
녀석
이 아니라서 해의 강력한 중력장과 뜨거운 열기를 견디고 살아남는다면 말이다. *아이손 혜성을 11월 25일(월) 개관하는 과학동아 용산 천문대에서 관측해보세요! 과학동아 천문대 홈페이지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마리씩 몰려다니는 광경을 여러 번 목격했다. 커다란 날개를 펄럭거리면서 날아가는
녀석
들을 보면 ‘나비는 참 아름다운 곤충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다가도 어떻게 저런 형태로 진화했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벌이나 잠자리에게 투명 필름인 날개가 몸통을 공중으로 띄워 이동하게 하는 ... ...
연꽃이 두려운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모르겠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필자가 개공포증이 없었다면 그때 그냥 내려오면서 “
녀석
참 잘 생겼다!”라고 한 마디 했을 것이고, 개도 모른 척 지나갔을 것이다. 필자의 지나친 공포와 그에 따른 어설픈 행동이 개의 늑대 본능을 일깨운 건 아닐까. 아무튼 그 일 이후로 필자는 TV에서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섞여 빠져나갈 텐데 왜 이럴까 싶지만 이유는 젖당을 분해하는 장내미생물 때문이다. 이
녀석
들은 젖당을 소화하며 수소와 이산화탄소, 메탄을 다량 내놓는다. 그렇다면 마트에 잔뜩 있는 그 많은 우유는 도대체 누가 먹는 걸까. 참고로 우리나라 사람은 거의 90%가 젖당불내증이다. 필자도 말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