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생김새
건초
마른 풀
마초
사료
형식
뉴스
"
꼴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1900년 이후 매년 식물 3종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2배 이상 멸종한 것이다. 1900년 이후로는 멸종 속도가 빨라져 총 315종, 연간 3종
꼴
로 멸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식물 멸종지도를 제작했다. 분석 결과 79종이 멸종한 하와이에서 가장 많은 식물이 멸종했다. 남아프리카도 37종이 멸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식물도 하나 ... ...
뇌 신경공학에도 '무어의 법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현재 1000개의 신경세포를 다룰 수 있는 수준인데 7년에 2배
꼴
로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런 신기술을 바탕으로 뇌과학자들로 하여금 뇌의 기능적 연결성 지도와 구조(세포 차원) 연결성 지도를 완성하게 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최근 ... ...
수의사1人당 실험동물수 선진국 10배…"학대는 한국 연구환경의 예견된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해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윤신영 기자 “해외에서는 실험동물 3만~5만 명마다 한 명
꼴
로 전임 수의사가 상주하며 실험 과정이 과학적, 윤리적 원칙에 맞게 잘 지켜지고 있는지 관리합니다. 반면 연 33만 마리의 동물을 실험하는 서울대에엔 실험동물 윤리를 담당하는 전임 수의사는 아예 없고, ... ...
[주말N수학] 큰 수 곱셈을 빠르게 하는 법
2019.05.11
이런 빠른 곱셈 방법은 원주율의 자릿수를 매우 많이 구하거나, 아주 큰 메르센 소수(2n-1
꼴
의 소수)를 찾는 등에 사용됩니다. 새로운 알고리듬 덕분에 이런 계산들이 빨라진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e의 x승이나 원주율 π를 n자리까지 정확하게 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제는 nlog²n에 비례하게 ... ...
고혈압 직장인에게 가장 위험한 적 '직장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높았다. 직장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를 모두 겪고 있는 사람은 사망위험이 2.3배(7.13명
꼴
)나 더 높았다. 연구를 이근 칼하인츠 라드위그 교수는 "건강한 사람보다 고혈압을 겪고 있는 사람은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로 인해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뜻"이라며 "특히 일과시간 동안의 ... ...
기적의 항암제 '글리벡' 내성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기적의 표적항암제'로 알려졌던 글리벡(성분명은 이매티닙)은 백혈병 환자 10명 중 3명
꼴
로 듣지 않는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글리벡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이유와,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았다. 서울성모병원 김동욱 혈액내과 교수(가톨릭혈액병원장)와 기초과학연구원(IBS) ... ...
“특허·창업은 이제 대학의 주업무, 인식 바꿔야"
2019.04.03
외에 들이는 시간을 언급했다. 구젤라 전 총장은 “보통 세계의 대학은 일주일에 하루
꼴
인 20%의 업무를 외부 기관 및 기업 자문 등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며 “하지만 ETH취리히는 나머지 80%의 ‘본연의 업무’ 시간에도 산업과 협력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연구를 통해 발견한 새로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비합리적인 생각에도 합리적인 이유 있다
2019.03.31
나를 감시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그러니 일거수일투족을 주시하면서 내가 잘되는
꼴
을 못 보는 것이죠. 더는 참을 수 없습니다. 오늘 한바탕해야겠다고 결심합니다. 지나친 것이 아니냐고요? 부장은 몹시 나쁜 사람입니다.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주변 사람을 착취하는 부류의 인간입니다. 지난주 ... ...
러·美 사이 베링해 상공서 대형 유성 폭발…100년마다 두세번
꼴
희귀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2013년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 상공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화구. 태양보다 밝게 빛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북태평양 북부 러시아와 미국 알래스카 사이에 있는 바다인 베링해 상공에서 대형 불덩어리 유성이 폭발했다. 19일 BBC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8일 오전 12시경 지름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 세계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모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데이터 공유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아암은 세계적으로 어린이 300명당 1명
꼴
로 겪고 있을 정도 아주 흔한 병은 아니다. 이 말은 임상의들이 소아암을 경험할 일도 많지 않다는 뜻이다. 그래서 논평 저자들은 소아암이 생기는 원인을 잘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른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