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질무렵
성하
d라이브러리
"
한여름
"(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보인다. 당시 중국 기록에 따르면 남부지역인 광동성 일대에 하늘이 어두워지면서
한여름
에도 서리가 내리고 얼어죽은 사람이 나왔다고 한다. 이는 백두산 화산재가 하늘로 올라가 성층권까지 도달하면서 하늘을 덮어 태양복사가 약해졌기 때문이다.당시의 화산분출로 발생한 화산재는 백두산 주변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얼굴에 환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비가 와도 제대로 차양 구실을 못하는 유리 지붕 아래
한여름
이면 한증막이 돼버리기 일쑤고 겨울이면 추위로 곱아드는 손을 녹여야만 했던 이 실험실에서 고생한지 4년째 마침내 결실을 맺은 것이다.이들은 이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온세계를 떠들썩하게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있는 흔한 지형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너덜지대는 경남 밀양 천황산에 있다. 이곳은
한여름
에도 고드름이 맺히는 얼음골로 유명하다. 얼음골은 이런 너덜지대에서만 발달하고 있어 흥미롭다. 충북 제원군 금수산의 얼음골, 경북 청송의 얼음골 등지도 모두 너덜지대다.돌강과 너덜지대는 외형이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담소를 즐기는데 여념이 없던 탐사팀 주위로 어느새 괭이갈매기 무리가 모여들었다.
한여름
에 만난 겨울철새 비오리서산시, 홍성군, 보령시, 안면도에 둘러싸인 충남 태안반도 남쪽의 천수만은 총 해안 길이가 약 2백km에 이른다. 1984년 완성된 이곳 간척지의 총 면적은 4천7백만ha(헥타아르)로 여의도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소생된 그는 하루가 지나서야 말을 하고 3일 후에야 다시 보고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한여름
임에도 불구하고 다이어트 때문에 소위 ‘땀복’을 입고 조깅이나 등산을 하는 사람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 경우 땀을 더 흘리게 되므로 약간의 효과는 있을지 몰라도 땀을 증발시켜야만 가능한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냉기를 보존한다?하계결빙 현상이 사실이 아니더라도 얼음골이 기이한 곳임은 분명하다.
한여름
에 얼음을 볼 수도 있고 한기가 느껴지도록 찬바람이 부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변 교수는 첫번째 이유로 주변 산세를 말한다. 밀양의 얼음골은 1천m가 넘는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후두둑….
한여름
무더위를 가르며 소나기가 퍼붓는 소리다. 소나기 소리의 정체는 지름 5-8mm 정도의 빗방울이 대지와 부딪히면서 발생한 공기의 진동이 초속 3백40m의 속도로 우리 귀로 날아오는 것이다. 그러나 소나기 소리는 과학적인 분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감성을 사람에게 선사한다. 소나기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후텁지근한
한여름
밤의 무더위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공포영화나 무서운 얘기를 접하는 것이다. 온몸에 소름이 돋을 만한 내용이라면 더욱 안성맞춤이다. 우주공간에도 속살까지 시원하게 해줄 끔찍한 형상을 한 천체가 있을까.지난해 4월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곧 에베레스트 등정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한다.에베레스트와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한여름
에도 두꺼운 옷을 준비해야 할 정도로 기온이 낮다. 자외선도 강해 화상을 입기 십상이다. 무엇보다 힘든 것은 산소 부족이다. 고산지대는 1천8백-6천m 사이의 높이를 말한다. 해수면 수준의 대기압은 7백6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다. 하지만 이 유성우의 유명세는 단지 별을 보기 용이한
한여름
에 펼쳐진다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유성우는 바로 용자리 유성우다.용자리 유성우는 과거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불렸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하늘에서 유성우가 쏟아져 나오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