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정"(으)로 총 1,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두 번째 바퀴에는 12개의 숫자(0~11), 마지막 바퀴엔 4개의 숫자(0, 3, 6, 9)를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어요. 세 바퀴에 쓰인 숫자들 중, ‘3’, ‘6’, ‘9’ 자리에 새끼 손톱만한 나무 부품을 끼우면 비밀번호가 설정되지요. 총 3개의 바퀴로 조합할 수 있는 비밀번호 경우의 수는 12×12×4로 576가지나 ... ...
- [보존과학] 으앗, 비상! 작품에 대참사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때문에 보존기술과 미술사의 융합 없인 올바른 복원이 불가능해요. 실제 우리나라 국가지정문화재의 경우 대다수가 이러한 방식으로 보존, 복원되고 있어요. Q작가가 직접 복원하면 어떨까요?작가가 살아있다면 도움을 받을 순 있겠죠. 하지만, 작가가 무리하게 개입하면 복원이 아닌 새 작품이 ... ...
- [한장의 과학] 바닷속에 아파트가 있다?! 산호의 러브하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타일이 설치된 곳은 홍콩 동북쪽에 있는 호이 하완 해양공원이에요. 이곳은 홍콩 정부가 지정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산호 60여 종과 어류 120여 종이 있어요. 공동연구진은 정부와 함께하는 ‘산호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이 지역의 산호와 주변 생태계를 모니터링하고, 복원 방법을 논의하고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받게 되었어요. 그가 말라리아의 감염 경로를 밝혀낸 8월 20일은 ‘세계 모기의 날’로 지정되었답니다. 보충설명* 샤를 루이 알퐁스 라브랑은 로널드 로스와 별개로 열원충을 발견한 공로로 190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 ...
-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번식력으로 생태계를 교란시켰죠. 이에 2009년, 환경부는 뉴트리아를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했어요. 뉴트리아와 카피바라는 서로 얼굴이 비슷하게 생겼어요. 이 둘은 이빨과 꼬리로 분간이 된답니다. 뉴트리아는 튀어나온 주황빛 긴 앞니와 몸길이의 반에 달하는 긴 꼬리가 특징이에요. 반면 ...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하며, 수역에 할당된 어획량을 수확하면 어업은 금지된답니다. 아라온호는 MPA로 지정된 로스해에서 크릴 생물량을 조사했고, 이 자료는 까밀라에 보고돼 생물자원 및 생태계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예정이에요. *용어정리해양보호구역(MPA): 남극의 생물자원과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남방큰돌고래, 참돌고래, 바다거북…. 참돌고래를 제외한 모두가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된 종이다. 평생 자유롭게 바다를 누비던 녀석들이 어떻게 차가운 부검대에 오르게 됐을까. 피부부터 골격까지, 생전 흔적 찾아서 우리나라 연안에 사는 고래는 약 7만 마리다. 이 중 매년 2000마리가 사체 또는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288-3414국제적으로 공항 인근 반경 13km 이내는 ‘버드 스트라이크 존(bird strike zone)’으로 지정돼 양돈장이나 과수원처럼 조류를 유인하는 시설을 지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등 우리나라의 대표 공항 세 곳은 조류충돌에 대한 고민이 덜했던 시기에 완공돼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RD-151은 RD-191을 나로호에 맞게 튜닝한 엔진이라는 내용이었다. 나로호 재발사 예정일을 지정하는 시점에는 나로호를 추운 날씨에 발사할 수 없다는 얘기도 나왔다. 겨울로 갈수록 발사가 가능한 시간대인 ‘발사 윈도’가 줄어드는 건 사실이지만, 계절에 관계 없이 발사는 가능하다. 심지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연구의 총책임자인 더크 호프마이스터 교수는 “실로시빈은 환각을 일으켜 불법으로 지정된 물질이지만,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이 엄청나다”고 말했어요. 현재 실로시빈은 우울증 치료제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답니다. ☞결과 : 빨대의 반대쪽 입구를 막으면 감자가 훨씬 잘 뚫린다!빨대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