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d라이브러리
"
조각
"(으)로 총 2,078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 만화] 몸속에 숨은 미세플라스틱, 빛으로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발표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이 쪼개지면서 생기는 지름 5mm 이하의
조각
들이에요. 크기가 매우 작아서 하수처리가 되지 않은 채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물고기가 이를 섭취할 수 있어요. 인간이 이 물고기를 섭취하면 미세플라스틱을 먹을 수도 있어 큰 문제로 지적됐죠.기존의 ... ...
[놀이북] 두뇌 퍼즐 사고력이 쑥쑥! 두뇌 퍼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것은 우리가 마시는 물처럼 생명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뜻해요. 그래서 제가 만든
조각
품에는 각종 해양 동물들이 거주지로 정착하곤 한답니다. Q 작가님의 작품을 보고 사람들이 무엇을 느꼈으면 하나요? 저는 바닷속 세계가 얼마나 중요하고 아름다운지를 보여주고 싶어요. ‘바다’를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슥슥 밀어서 재밌고 쉽게 배운다! 원소주기율표 퍼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완성되면 퍼즐
조각
을 끼워줍니다. 26개의 퍼즐
조각
에 순서는 없어요. 다만 모든 퍼즐
조각
의 홈이 왼쪽과 위쪽을 향하도록 조립해야 나중에 퍼즐을 움직일 수 있어요. 이때 맨 아랫줄부터 조립하면 수월하답니다. 모든 퍼즐을 끼워넣고 나면 오른쪽 맨 위의 한 칸이 남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원소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만들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다고 해서 없는 근거가 생기는 건 아니다. 고대 그리스인이
조각
한 안티키테라 장치로 친 점보다 내가 몇 MHz(메가헤르츠·1MHz는 100만Hz)로 작동하는 16비트 컴퓨터로 봤던 사주팔자가 더 정확할까?이영도의 SF소설 ‘별뜨기에 관하여’는 지금 우리보다 더 적극적으로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고개를 갸우뚱했습니다.제주도는 수온이 낮아 산호초가 자라지 않습니다. 그래서 산호
조각
으로만 만들어진 퇴적물도 생길 수 없거든요. 우도에서 가져온 모래를 확인하니, 이 모래는 산호가 아니라 홍조단괴가 쌓이고 부서져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지금도 우도에는 ‘산호사(산호모래)’라는 ... ...
[특집] 종이 접기가 멋진 이유?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접은 선(노란 선)에 맞춰 색종이의 오른쪽도 접었다 펴요(5). 이제 색종이를 똑같은 세
조각
으로 나누는 선 2개가 생겼어요(6). 정말인지 직접 자를 이용해 길이를 재 봐요! 접착제는 가라! 감쪽같은 튤립 접착제 없이 종이를 접기만 해도 꽃을 피워낼 수 있다는 사실! 색종이의 한 꼭짓점을 대각선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만들어 봐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 슬라이딩 퍼즐 들어 봤나요? 납작한
조각
판을 위, 아래, 양옆으로만 움직여 올바른 모양으로 맞추는 퍼즐이에요. 어린이수학동아에선 1월 온라인클래스를 통해 이 슬라이드 퍼즐을 직접 내 손으로 뚝딱 만드는 방법을 알려 줬습니다. 어과수 ... ...
[특집] 분수로 받은 주문서를 확인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분수 마왕의 간식 가게는 분수로 주문을 받지. 이제 네가 직접 주문서를 보고 알맞은 양의 간식을 손님에게 가져다드리렴.”분수 마왕이 수리에게 주문서를 내밀었어 ... 9개 있어야 3이 돼요. 즉, 3÷1/3의 몫은 9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조각
의 크기가 작을수록
조각
의 개수는 많아지지요 ... ...
[특집] 이건 몰랐지? 분수 안에 식 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몫인 거지요. 3/7은 1/7+1/7+1/7 이에요. 그러니까 케이크 하나를 7
조각
으로 나눈 다음, 3
조각
씩 한 접시에 담으면 돼요. 이렇게 3/7이라는 분수로 나타내면 한 접시에 담긴 케이크의 양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나눗셈 기호를 쓰지 않고, 분수로 나눗셈을 나타내는 거예요! ‘비’가 ‘비율’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