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치"(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없던 새로운 종으로 확인됐다. 박쥐를 숙주로 삼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체와 89.1% 일치하지만, 실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부위는 달라 계통학적으로는 신종으로 분류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출현으로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와 메르스를 포함해 총 7종이 됐다. 2020년 1월 9일, 중국에서는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황이 역전됐다. 해당 바이러스는 변이 속도가 굉장히 빠른 바이러스이기에 염기서열이 일치한다는 사실은 곧 같은 환자에게서 얻은 바이러스라는 걸 의미했다. 이 문제는 결국 소송으로 이어졌다. 소송은 합의로 끝났다. 1987년 프랑스와 미국은 에이즈 진단 시약의 특허권과 특허료를 각각 절반씩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같은 길이의 MHC 유전자 염기서열을 갖고 있고 그 대부분을 공유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없다. MHC가 실질적으로 면역계의 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혹자는 MHC의 발달이 생존과 관련이 깊은 번식 욕구와 함께 진화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근친상간이 누적되면 MHC가 거의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고수들이 심판에게 항의한 건 ‘공정성’ 때문이었습니다. 오늘 대결을 펼칠 종목은 ‘포커’와 ‘15퍼즐’, ‘루빅스 큐브’인데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심판이 각 ... 상황이 생기더라도 이 배열은 각 순서에 모든 카드가 똑같은 확률이기 때문에 우연의 일치일 뿐 무작위 배열입니다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만드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소음을 측정한 결과 예측값과 일치했다”며 “X-59 퀘스트는 기존의 초음속기보다 소닉붐으로 인한 소음이 훨씬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퍼루프 I 진공으로 쏘는 열차 ▲ 호주 빅하이퍼(VicHyper)가 2016년 11월 공개한 하이퍼루프의 개념도.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건강한 생활 습관이 모두 렙틴 저항성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우연의 일치는 아닌 듯하다. 과도한 식욕도 문제지만 반대로 식욕이 너무 없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비정상적으로 잘 먹지 않으려고 하는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을 자칫 가볍게 여길 수 있는데, 실제로 이는 ... ...
- 코로나19,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엔 사스를 일으킨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전체염기서열이 79.5% 일치해 가장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코로나바이러스는 조류와 포유류에게 감염되며 호흡기와 소화기 질환을 일으켜요. 이전까지 사람에게 전염된다고 알려진 6종 중 2종은 사스와 메르스, 나머지 4종은 일반 ... ...
- 대역전극, 조작 여부 수학은 알고 있었다?! 내일은 미스터 트롯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후보 20명의 득표수가 모두 7494.442(α)라는 실수에 다양한 정수를 곱해 얻어지는 결과와 일치하는 경우라면 후보자 수도 많고 α도 크기 때문에 투표 결과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한편 이 교수님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듬은 어떤 투표 결과를 알 때 그 결과가 조작됐을 확률이 얼마인지까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범인 호랑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도무지 감이 안 잡히네요. 남매의 집에서 직모인 황금색 털이 발견됐는데, 이 털과 일치하는 용의자는 없고요.”경찰의 말에 꿀록은 두 호랑이의 머리 부분을 번갈아 쳐다보며 웅얼거렸지요.“황금색 털 호랑이는 곱슬머리이고…, 직모 털 호랑이는 빨간색이라….”두 호랑이 사이에서 킁킁거리던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정도가 다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두 문서의 작성 시기나 문서에 사용된 필기구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미지 비교감식기를 사용하기도 한다.연구팀은 시간이 지나서 잉크가 휘발되거나 문서가 침수되더라도 잉크의 일부가 종이에 남아 있어 특정 파장에 반응한다는 점을 이용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