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리
법칙
사리
섭리
질서
천리
천상
d라이브러리
"
이치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안전만점 나무젓가락 다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연속으로 세번 맞는 것보다 다른 세 부위를 한번씩 맞는 것이 덜 아픈 것과 비슷한
이치
라고나 할까요.그러나 부러지기 쉬운 나무젓가락을 아치형으로 둥글게 휠 수는 없겠지요. 또 다른 안정된 구조를 찾아봅시다.예를 들어 버스 안에서 가죽끈 하나에 연결된 손잡이에 의지하는 경우에는 ... ...
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구멍을 내줌으로써 습기가 기둥 밑동에 모여드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법은 자연의
이치
를 잘 알고 이것에 대응한 것이며, 나아가 자연과의 융합성을 이루어주는 것이다.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두 기둥사이에 건 대들보는 휘어진 재목을 그대로 이용한다. 즉 종도리를 떠받치는 자리에 가장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온도 이하로 냉각돼도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과냉각이라고 함. 같은
이치
로 기체의 압력이 포화기압 이상이 돼도 기체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를 과포화라고 함)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화한다. (그림2)는 온도와 과포화도에 따른 형태변화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눈의 결정은 성장할 ... ...
[3] 궂은 날 지병 악화, 기의 인체 영향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우주가 조형되고 생명이 탄생 발전하였다는 것이다.주역(周易)에는 자연의 음양의
이치
에 대해 거의 완벽하게 서술돼 있다. 또 풍수지리설이나 점성술 등도 자연에 숨겨져 있는 음양의 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연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했다.그렇다면 우리는 산에서 들에서 자연을 감상하면서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물건의 개수를 셈하면서 비롯 됐다.움직이는 것은 그대로 있는 것보다 잡기 어렵다. 같은
이치
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는 일은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운 것이다. 움직이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정지에 가까운 상태, 즉 시간을 무한소의 단위에서 파악해야 한다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원상태로 돌아가면 주름은 사라진다.같은 주름이라도 노인의 얼굴에 생기는 주름은
이치
가 전혀 다르다. 젊은이의 몸에는 지방이 많다. 마치 주머니속에 물건을 가득 채운 것과 같아 피부가 팽팽하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지방이나 살이 빠져서 체중이 줄고 피부가 남아서 주름이 된다. 나이가 들어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발견되는 DNA의 반만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감수분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완전히
이치
에 맞는 결과이다.이상에서와 같이 모든 분화된 세포들은 수정란에 있던 완전한 게놈을 보유하고 있다. 즉 분화된 세포의 핵이 수정란의 핵과 동일한 유전자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손오공의 분신술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몸에서 눈만큼 작으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기관도 흔치 않다. 사물이 보이는
이치
는 뭘까. 눈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자.척추동물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상당히 유사하다.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은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고 초점이 조절되므로 망막에 도립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에서 상의 ... ...
화학- 모든 물질의 변화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진행되는 반응은 대개가 발열반응이다. 이것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이치
와 같다. 물질의 변화는 불안정한(에너지가 높은) 물질이 안정한 물질로 변해간다. 그러나 펌프를 이용, 아래에 있는 물을 위로 끌어올릴 수 있는 것처럼 일을 해주면 안정한 물질이 더 불안정한 물질로 될 수 있다.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우리는 '생태계의 평형'이라고 한다.사람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해서 위와 같은 자연의
이치
를 거역할 수 없다. 사람도 엄연히 생태계의 평형을 구성하는 하나의 동물이기 때문이다.그래서 생명의 단위를 개개의 생명체로 보지 않고 태양-지구계에 유일한 생명인 '지구상의 우주적 생명'(global life on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