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바지"(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과학동아 l1987년 09호
- 현미경은 차츰 완성된 형태를 갖추어 17세기 생물학을 획기적으로 진보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당시 공포의 대상이었던 콜레라 결핵 등 세균의 정체가 밝혀졌고, 세포의 염색체도 그 모습을 드러냈다. 그후 현미경은 세균학 면역학 병리학 연구 뿐 아니라 다른 공업적인 목적으로도 빠질 수 없는 ...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되었다. 게다가, 병원은 이제 빈부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의 육체적 필요에 이바지하기 위한 사회 단체가 아니다. 그것은 상업적 점포,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회사, 고객 유치를 위해 다른 의료기관들과 경쟁해야 하는 기업체인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동시에, 병원의 입원 환자수와 ...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여러 질병에 걸린다" 라는 이야기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알칼리성 음료가 건강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한만디로 어불성설이고 이미 60년대 중반 이후 과학적으로 의미없음이 판명된 잘못된 건강상식이다. 이근교수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사람의 몸은 항상 ...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과학동아 l1987년 05호
- 1천8백만t, 1965년에는 3천1백만t으로 껑충 뛰었다. 인조비료가 얼마나 식량생산에 크게 이바지 했는가를 여기서 볼 수 있다. 트랙터와 경운기의 등장 과학적 영농과 함께 농업생산성을 높혀준 것은 기계영농 즉 트랙터의 출현이었다. 새로운 기계나 새로운 형태의 동력 등을 농업생산에 응용한 것은 2 ...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과학동아 l1987년 05호
- 것이다. |불평등 계약과 대일의존의 문제 기술도입이 국내의 기술능력 향상에는 이바지했지만 기술 창조능력에는 별 기여가 없었다는 지적이 있다. ‘한국에 있어서 외국기술 도입과 국내 기술능력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일 분석’(1986)이라는 논문에서 김우식씨는 “기업내에서 도입기술은 ...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과학동아 l1987년 03호
- 치료의학과는 달리 인간의 권리를 존중하는 의학으로 사회질서유지와 인권옹호에 이바지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모든 변사체의 검시를 통해 사인을 밝히고, 범죄현장에 있는 개인식별증거물로 혈흔 치흔 지문 모발 침 정액 등에 대한 감정을 하는 것이 법의학분야이다.검시는 시체의 ...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보냈다. 이로써 과학기술 지식의 보급은 물론, 비판과 자극을 줌으로써 과학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왕립학회의 회원들은 국가로부터 어떤 종류의 연금이나 보수를 받지않았고, 신분상의 특권도 누릴 수 없었다. 따라서 학회의 운영비는 회원들의 회비나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것이 ...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과학동아 l1986년 12호
- 도 가능할 것이다.세째 하도정비시에 강변도로도 축조할 수 있으므로 시내의 차량소통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서울시의 한복판에 도로를 신설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이번 기회에 넓은 도로를 저렴한 공사비로 건설하게 되는 것이다.네째, 1980년대에 들어와서 한강이 죽어간다는 경고의 ... ...
- PART2 유전자의 기능과 이용 유전공학의 시대가 열려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생물종의 생명현상을 지배하는 유전자의 기능은 인류의 풍요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생물체란 무생물과 달리 분열하여 성장할 수 있고, 주위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신을 적응시키며,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낸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자기와 꼭 닮은 자손을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데 ... ...
- 동의보감 편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과학동아 l1986년 11호
- 胎産要錄) 등은 한글로 옮겨 언해본(諺解本)을 내기도 했다. 의학의 대중화에 크게 이바지한 것을 알 수가 있다.1608년 선조가 죽자 잠깐 형식적인 귀양살이는 했지만 허준의 일생은 평탄하고 영광스러운 것이었다. 생전에 공신칭호를 얻었고 죽은 뒤에는 양평군(陽平君)으로 봉해졌다. 그의 묘소는 ... ...
이전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