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록
탁월
d라이브러리
"
유력함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지구 역사상 최초로 인류는 종말을 막을 기술을 갖게 됐습니다.” 1998년 개봉한 마이클 베이 감독의 영화 ‘아마겟돈’에 서 소행성을 파괴하러 떠나는 석유시추공들을 앞에 두고 미국 대통령이 하는 말이다. 석유시추공들은 속성(?)으로 비행기술을 배워서 우주로 날아간 다음 소행성에 구멍을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반응이 뜨겁다. 지난 6일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가 11일 만에 누적관객수 500만 명을 넘어섰다. 흥행 비결 중 하나로 블랙홀과 웜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이 손꼽히고 있다. 특히 과학자가 직접 계산한 수식에 따른 블랙홀과 웜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내용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실러캔스는 부챗살 같은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 살집이 있다. 이들 일부가 뭍으로 올라오면서 지느러미가 다리로 진화했다는 게 현재 진화론의 정설이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세상에 약 550종의 동물 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에는 그것도 많은 숫자였다. 2000년이 지나 18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새로운 겨울을 앞둔 10월. 슬슬 몸도 마음도 월동 준비에 들어간다. 추위를 대비해 피하지방도 좀 불려 놓고, 아무리 추워도 견딜 수 있다고 자신을 세뇌한다. 지난 겨울을 되짚어 보며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려는데…. 기억력 좋은 독자 여러분들은 지금쯤 깨달았을 거다. 지난 겨울은 안 추웠다!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지난 8월, 전세계 곳곳에서 평소보다 크고 더욱 빛나는 슈퍼문이 관측돼 많은 이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혹시 아직까지 슈퍼문을 보지 못한 독자라도 실망하지 말자. 이번 달 9일,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찾아온다. 이뿐만 아니라 올 가을엔 토성이 달 뒤로 숨는 토성 엄폐와 붉은 달이 인상적인 개기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 2012년 콩고민주공화국 국립생의학연구소의 저스틴 마스무 박사와 공동연구진이 온더스테푸어트 수의학 연구저널에 발표한 논문** 국제적으로 불법 벌목을 감시하는 일리걸로깅포털 (Ilegal Logging Portal) 2009년 4월 30일자 기사*** 가디언 2012년 7월 5일자 기사**** 2002년 미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센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1543년에 지동설을 발표하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불과 반세기 뒤, 또 하나의 충격적인 발견이 알려졌습니다. 요하네스 케플러라는 독일 천문학자가 관측을 통해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라 는 사실을 발견한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전세계 수학자들의 축제라 불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이 대회의 꽃은 단연 대회 첫날 개막식에서 진행되는 필즈상 시상식이다. 필즈상은 만 40세 이하 전세계의 젊은 수학자 중 업적이 뛰어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수학동아에서는 필즈상 수상자를 예측하기 위해 국내 수학자 90명에게 설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모기는 꽤나 오래 전에 지구에 등장한 곤충이다. 현재 모기와 가장 가까운 조상은 79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만들어진 광물, 호박에서 처음 발견됐다. 영화 ‘쥐라기공원’이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지난 3월 17일 전세계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 넣은 ‘우주배경복사 속 중력파 흔적’ 연구가 우주에서 오는 잡음(노이즈)에 의한 오차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와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프랑스 파리-수드대 입자물리학자 아담 팔코스키 박사가 12일 자신의 과학 블로그 ‘레조너스(résonancesㆍ울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