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성공
달성
완성
d라이브러리
"
완수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환경의 변화에 적응을 잘 해왔으며 그 결과 육상으로 진출도 비교적 성공적으로
완수
했다고 한다. 물론 개구리는 물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동물이지만.개구리와 두꺼비는 양서류의 무미목(無尾目, Anura)에 속한다. 개구리는 전세계적으로 24과3천8백종이 기록돼 있으나 매년 수십종씩 새로 기록되는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제작, 93년 6월 대전EXPO 개막에 맞춰 발사할 예정이다. 2호는 1호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
할 경우 일부 장비의 성능을 한단계 높일 예정이다. 최초라는 데 큰 의미우리별은 어느 정도의 능력을 갖춘 위성일까. 올해와 내년에 두대의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이를 운영한다면 우리도 진정한 위성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하나같이 생체적응력이 뛰어나고 자신의 임무를 다 한 뒤에는 완전히 자취를 감춘다.70년대에 우연히 인간의 뼈와 산호가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다 ...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은 하나같이 생체적응성이 뛰어나고 또 자신의 임무를
완수
한 후에는 자가소화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구멍을 뚫기 시작한다. 이제부터 로보닥은 순전히 자신의 기억에 의존해 작업을
완수
해야 한다. 뼈에 완전히 구멍이 나면 로보닥은 즉시 작업을 멈춘다. 연(軟)조직에 닿는 순간 드릴 끝에 부착된 압력센서가 작동을 중단시키기 때문이다.만일 이번 수술에서 로보닥의 활약이 두드러지면 앞으로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스프레이와 점적약(點滴藥)이다. 이들은 코점막 혈관을 수축시킴으로써 자신의 임무를
완수
하는 약들이다. 만약 이 약제가 출혈지점에 정확히 떨어지기만 한다면 코피를 멈추게 할 정도의 수축을 일으키는 게 보통이다. 코피를 멎게 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혈관수축제는 네오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흔히 듣는 충고다. 그러나 8시간 수면을 하고서는 도저히 공부량 또는 작업량을
완수
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공허한 말일 수밖에 없다.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다음 세가지를 꼽는다.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불면증, 갑자기 통제할 수 없는 잠에 빠져드는 발작성 수면, 잠자는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에틸렌은 이 세포에 들어가 세포벽 분해효소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자신의 임무를
완수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아브시산도 증가돼 성숙한 잎의 노쇠와 늙은 잎이 떨어지는 것을 돕는다.오늘날 식물조직배양학자들은 수많은 식물에서 조직배양을 통해 재분화식물체를 얻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대체돼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에 비추어 우리가 FX계획을 92년부터 98년까지
완수
한다고 볼 때 기간이 지체된 것만은 사실이다.아무튼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차세대전투기로 FA18이 결정됐고 곧이어 HX계획도 확정될 전망이어서 우리의 항공산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은 것만은 분명하다.말벌(FA18의 ... ...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돌이켜보면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올림픽전산화란 대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
하여 우리 소프트웨어 기술을 세계 만방에 널리 떨쳤으며 행정전산망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작업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 또 개인용 컴퓨터의 복제에서 시작된 컴퓨터 개발기술은 이제는 독자적으로 ... ...
물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선진국에서 배워와야 하므로 국제협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를 계획대로
완수
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획기적인 도약을 할 수 있으며, 21세기에 가서 본격적인 입자가속기 건설에 참여할 수 있느냐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련되는 산·학·연의 모든 사람들이 힘을 합쳐야 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