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첨예
d라이브러리
"
예리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은 돌을 반짝이는 돌로 인조다이아몬드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공업화 하였다.이 방법으로는 30㎛크기의 다이아몬드가 생산된다. 또 이 분말에는
예리
한 각이 없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연삭제보다는 연마제에 더 적합하다. 플라스마와 열필라멘트를 이용한다이번에는 다이아몬드의 화학기상석출법(CVD)을 알아보자. 초고압이 아닌 저압에서 다이아몬드를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아니다"라고 맞섰다.이와 같이 고대 그리스학자들은 물질에 관하여 지금 보아도 상당히
예리
한 관찰이었다고 생각되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하지만 그 당시엔 이러한 이론을 실증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이어서 종교전제(宗敎專制)로 인한 과학의 암흑시대가 1천5백년 이상이나 계속돼 이같은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이를 가는 것도 이와 턱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어선에서 낚아올렸을 때 어부들은 이
예리
한 이빨을 뽑아버린다. 활어조에 넣었을때 서로 물고 뜯고하여 죽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냉동운반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복은 활어가 고급품이다.복을 먹는 습관은 고대부터 있었으나 회로 먹은 것은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걸을수 없을 정도로 몸이 상하여 자유롭지 못하다는 풍문과는 달리 정력이 넘치고
예리
하며 건장하다. 사람의 눈을 바로 노려보면서 얘기하는 태도에 박력이 있다. 햇볕에 그을린 윤기나는 얼굴이 그의 건강함을 증명하고 있다."인간에게 한계가 있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우주공간에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발톱이 꼬리 끝에 달려 있다. 이 독발톱으로 먹이에 독을 쏘아 쓰러뜨려 포식한다.기타-
예리
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 식육류의 것과 닮은 이는 먹이의 고기를 찢는데 적합하다. 먹이는 큰뼈까지도 모두 먹어치우고는 비를 맞지 않는 곳에 누워 피하 글리코겐이 가득 저장될때까지 꾸벅꾸벅 졸면서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새로 임명된 '미하일 그라쳬프'박사에 따르면, 생물학자들의 관심은 아마도 훨씬
예리
해질 것이라고 한다.일례로, 이르쿠츠크대학에서 연구중인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어린 바다표범은 '어떻게 바다 포유동물이 내륙의 민물호수에 적응하게 되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케 한다. 호수에는 1천6백m의 ... ...
생활속에 파고드는 바이오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신비의 빛' '생명의 빛'등으로 불리우는 것을 봐도 원적외선에 대한 과학의 메스는 그리
예리
하지만은 않은 것 같다.원적외선 응용의 기본은 적외선이 열선, 즉 열에너지원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18세기 산업에의 응용 역시 열에너지원으로서의 원적외선 활용이다. 그러나 ... ...
생명 모양의 원천 나선형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좀 더 공격적인 나선도 있다.왼쪽페이지 사진은 싱가폴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예리
한 가시가 나선상으로 줄기를 휘감고 있다. 이것도 역시 안쪽의 부드럽고 약한 조직을 지키고 있음이 틀림없다. 왼쪽 사진은 나비의 머리부분이다. 문어발처럼 말려있는 두개의 가늘고 긴 관은 꽃에 있는 꿀을 ... ...
바늘없는 침의 원리는?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사용함에 있어 위행 처리가 필요하고 △정확한 혈에 자침하기가 어려우며 △침의 구조가
예리
하여 환자에게 공포감을 주고 △침의 기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로석생체침은 △침을 자침하지 않고 비접촉 유도 방식으로 사용하고 △자침위치가 약간 이탈되어도 자동적으로 ... ...
주사선 1125개의 하이비전시대 열어 세계가 놀라는 일본의 TV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그러나 그림엽서 같이 깨끗하고 아름다울 뿐 박력이 없다"이것이 클레임을 건 이유였다.
예리
한 지적이었다. 그러나 연구팀도 그점을 알고 있다. 단순히 섬세하고 치밀한 것만이 아니고 박력도 있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이미 연구하고 있었던 것이다.그래서 화면을 넓게하면 박력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