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마트"(으)로 총 1,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급똥 처리 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하면 됩니다. 그럼 장치가 초음파를 이용해 방광 또는 대장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고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에 알람을 보내죠.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화장실 알람이라니, 광고가 과하다고 여길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나카니시 아츠시 트리플 더블유 재팬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시면 ... ...
- [논문탐독] 큐브샛의 동력원 태양전지판을 지켜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한국의 우주산업을 더욱 부흥시켜 줄 것이라고 믿습니다. ※필자소개.최재섭. 조선대 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부에서 석사과정에 재학하고 있다. 위성체의 구조 설계와 분석 연구를 하고 있다. 누리호에 탑재된 큐브샛인 스탭큐브랩-2의 개발에도 ...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기술을 이용해 ‘Seeing AI’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사람이나 제품, 장면을 음성으로 설명해줍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됐습니다.심리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 방법 중 하나인 ‘집-나무-사람 시험’처럼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만들어 건물을 만든다는 것이 주된 전략입니다. 정태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스마트기술 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우주로 건설 자재를 보내는 것은 엄청난 비용이 드는 만큼, 최근 우주 건설 분야에서는 ‘현지 자원 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다”고 말합니다.피나르 아크피나르 튀르키예 ... ...
- [핫이슈] 1폰 2번호 나도 써볼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기대한다”며 듀얼번호 서비스를 발표했다.하지만 모두가 e심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스마트폰에 e심 내장칩이 탑재돼야 한다. 아이폰은 아이폰XS를 포함해 2018년 이후 출시된 모든 기종에서 e심을 사용할 수 있다. 갤럭시의 경우 8월에 출시된 갤럭시 Z폴드4와 Z플립4가 최초로 e심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AR(증강현실)의 놀라운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앞다투어 AR 안경을 연구하고 곧 출시가 될 거란 말이 나오고 있어요. 나중에는 스마트폰처럼 AR 안경을 하나씩 소유하는 날이 곧 오겠죠? 하지만 AR 기술이 무조건 좋기만 할까요? 염려되는 부분도 있어요. 첫째, 눈앞에 보이는 모든 정보를 AR 안경으로 볼 수 있다고 과연 무조건 좋을까요? 또 나의 ...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스파크가 튀었습니다. 현일 씨가 “너도 알지, 지금은 자주 볼 수 있는 기차인데”라며 스마트폰으로 찍은 철도 사진을 보여주면, 한결 군은 “아직 북한에는 3등 열차가 있는데”라며 티키타카가 이어졌습니다. 현일 씨가 “지금 새마을호는 새마을호가 아냐”라고 하자 한결 군은 “맞아요”하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세상은 점자처럼 만질 수가 없어서 이해하기가 어려워요. 한편 민하는 손을 다쳤을 때 스마트폰에서 드래그나 터치를 할 수 없어 곤란했다는 이야기를 했어요. 다행히 음성인식기능이 있어 말로 입력할 수는 있었지만,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들어 불편했지요. 첨단 기술로 빠르게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풍부한 젊은 세대, 현장 경험이 많은 시니어 개발자들이 있고, 모든 개인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직접 사용하는 초연결의 사회다. 닷컴버블 시대와는 환경이 완전히 달라졌다.물론 악재는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선진국에서 풀었던 자금은 인플레이션을 불렀다. 금리는 오르고 증시는 하락하며, ...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지원합니다. 선발된 독자위원 10명 중에는 대학교 3학년 학생도 있었습니다. 당시는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도 별로 없을 때였습니다. 독자위원들은 세 달에 한 번씩 서울 충정로 사옥에 모여서 회의를 했죠. 저 멀리 부산, 정읍, 청주에서 버스를 타고 찾아왔습니다. 다들 과학동아에 애정이 있었죠.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