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선
온정
호의
친절
d라이브러리
"
선의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삼각주라고 부르지. 조금 복잡하지?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야. 이런 융
선의
특징적인 부분들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을 이용해 바이오인식을 하는 거야. 기계가 인식한 지문의 여러 가지 특징들을 찾아 낸 다음 입력되어 있는 지문의 특징들과 비교하면 같은 사람의 지문인지 아닌지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가이거 계수관이라고 한다 1928년 독일의 가이거와 뮐러가 고안한 특수한 방전관이며
선의
계측 등 우주선이나 원자핵 연구 등 방사선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a선· b선· y선 등의 입자 또는 광량자를 하나씩 세는 장치 이것을 개량한 것이 가이거-뮐러 계수기다하인리히 가이슬러가 제작한 저압기체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캡틴 쿠스토의 선물을 주마. 편지를 뒤집어 촛불에 살짝 그을려봐. 세계 곳곳에 있는 보물
선의
위치가 그려진 지도가 보일 거야. 전 세계의 바다, 강, 호수에 아직 찾지못한 300만 척의 난파선이 있다고 해. 지진과 해일로 순식간에 바다에 잠긴 알렉산드리아 같은 해저도시를 찾는 것도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분해하여 보낸다 이론적으로는 주사
선의
수가 많을수록 그림의 분해능 혹은 선명도가 좋아진다전자기파를 주파수에 의하여 분류할 경우,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일괄하는 범위 이 성질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존재하는 고에너지 복사선(輻射線) 및 그것이 지구의 대기에 입사하여 만드는 복사
선의
총칭바람이나 해류 등의 영향으로 해안에 정착하지 않고 표류하는 해빙(海氷)유행성 감기를 일으키는 병원체로서 바이러스(혹은 비루스)의 일종 A형 B형 C형이 밝혀져 있지만, 그 각형마다 새로운 변종이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폭탄도 쉽게 찾는다. 특히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분해서 보여 준다.T
선의
장점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을 찾아 내는 착한 빛인 셈이다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탑승한 유일한 한국인 과학자인 장 교수는 “지큐호는 16명의 과학자가 명예를 걸고
선의
의 경쟁을 펼치는 공간”이라며 “지큐호에서 내린 뒤 가장 먼저 논문을 발표하기 위해 쉬는 시간에도 연구결과를 정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큐호에는 장 교수 외에 일본, 미국, 유럽연합의 과학자가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속을 떠다니다가 천천히 지상으로 낙하한다방사성 동위원소는 반감기, 방출하는 방사
선의
종류와 에너지가 각기 다르므로 이것들을 방사선 검출기로 측정함으로써 그 종류와 양을 알 수 있다호르몬 및 생체활성물질(生體活性物質) 등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호르몬의 경우 방사성 물질로 표지된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있는 별자리 명확한 항원과의 접촉이 없이 냉한·온열·광선·운동 등 기압의 변화나 전
선의
통과 등도 포함하는 기계적·물리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알레르기의 총칭 물리알레르기라고도 한다발생기서는 I형 반응에 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기하학적 착시도형(錯視圖形)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18 ... ...
대한민국 이공계 쌍두마차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국의 MIT와 칼텍, 일본의 와세다대와 게이오대는 시대를 뛰어넘는 영원한 맞수다.
선의
의 경쟁은 각 대학의 성장판을 자극해 무럭무럭 자라게 한다.대한민국 이공계 대학 중에도 맞수가 있다. 매년 700명의 학부 졸업생을 배출하며 이공계‘인재양성소’라고 불리는 KAIST와 30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