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d라이브러리
"
상
"(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이 자라 2022년 필즈 ... 추측’ʻ로타 추측’ 등을 해결한 허준이 교수는 로그-오목 성질이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대
상
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 ...
[에디터노트] 특별호의 비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못해 죄송할 따름입니다. 지난해 11월 11일 2022 필즈
상
취재를 시작한 이후 필즈
상
시
상
식이 열린 올해 7월 5일까지 237일 간의 취재를 담은 기록이자 세계 수학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역사적 사건을 담은 특별호를 재미있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의 필즈
상
수
상
은 국내에서 대학교 석사 과정까지 교육을 받은 필즈
상
수
상
자의 탄생이라는 의미가 큽니다. 우리가 끊임없이 의심하고 국제 경쟁력이 없다고 이야기하던 우리 교육 체계에서 희망을 발견한 것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그가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에서 좌절을 겪고 자퇴한 뒤 ... ...
전격 분석! 필즈
상
의 모든 것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제 재산을 수학
상
을 만드는 기금으로 써 주세요” 필즈
상
은 1932년 세
상
을 떠난 캐나다 수학자 존 찰스 필즈의 유언에서 시작됐어요. 그는 생전 자신의 재 ... 있었습니다. 일련의 사건들로 필즈
상
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됐고, 필즈
상
은 ‘수학계 노벨
상
’이라는 별명을 얻게 됐습니다 ...
[천
상
]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ROTC) 이수가 필요했는데, 저는 ROTC를 통과하지 못해 MIT 학위 수여가 보류된
상
태였어요. 그런데 다행히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저를 받아줬지요. Q. 박사과정 중에 일반화한 쇤플리스 추측을 해결하시고, 만 25세라는 젊은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가 되셨어요. 혹시 교수님은 본인이 노력파와 타고난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
상
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안녕하세요. UNIST 수학 동아리 ‘EOE’의 방세훈이에요. 저는 2006년 필즈
상
수
상
자인 벤델린 베르너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교수와 관련한 문제 ...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
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
상
’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 ...
ICM 주요
상
수
상
자의 서재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빠져 있다 보면 어느새 다양한 수학 원리를 탐구하고 있게 됩니다. 가우스
상
수
상
자 엘리엇 리브 교수는 을 추천했어요. 이 외에도 2권 정도 더 추천해 주셨는데 수학, 통계학 분야의 전공 서적이라 이 책만 소개할게요. 이 책은 현대 우주론의 위대한 질문들을 담고 있어요.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
상
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는 작업이에요. 관전 포인트 4. 수학계 떠오르는 분야는 확률과 통계! 초청강연은 20여 개의 수학의 세부 섹션으로 나뉘어 열리는 강연으로, 이번엔 204개가 진행돼요. ... ...
[특집] 수
상
자는 누구? 2022 필즈
상
대예측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두둥! 4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 수학자들의 축제! 세계수학자대회(ICM)가 7월 5일 그 화려한 막을 엽니다.ICM에서 수학자들이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은 ‘필즈
상
’ 시
상
식이에요.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광적인 열광은 역설적이게도 우리 사회가 더 이
상
정당한 노동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없게 된 현실에서 나온다. 그렇다. 우리가 꿈꾸던 그 자유롭고 유토피아적인 ‘사이버 공간’이 아닌 ‘메타버스’다. 인간의 지적·유희적 행위가 노동이 되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