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군사
전사
장병
보병
해병대원
졸병
d라이브러리
"
병사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몸무게 45kg인 여성이 60kg인 남성을 무리 없이 들어올렸다. 무거운 짐을 들어야 하는
병사
나 건설 노동자, 부두 인부에게 꼭 필요한 발명품인 듯.D E E P F L I G H T 1수중비행기로 불리는 딥플라이트는 바다 속을 나는 배다. 분당 90m 속도로 오랫동안 바다 속을 누비며 심해 사진 촬영이나 탐사 임무를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홍 교수는 “스타워즈는 우주 시대에 중세의 낭만을 되살려낸 영화”라며 “일반
병사
들은 총을 사용하지만 제다이 등 리더들은 검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우주 공간에서 영웅을 돋보이게 하고 낭만적인 효과를 낳기 위해 광선검이 사용됐다는 설명이다.홍교수는 “광선검 결투가 당시 유행하던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기록은 과학을 넘어 문학작품으로도 손색이 없다.총기 사고로 위에 구멍이 난 한
병사
의 위장을 뚜껑처럼 열고 닫으며 음식이 얼마나 소화됐는지 관찰해 소화기능을 연구한 ‘위장에 뚜껑 달린 사나이’ 등 흥미로운 이야기도 많다. 존 스타인벡이 쓴 해삼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 마크 트웨인, 조지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따위를 조사하기 위해 현미경을 쓴다. 생물학과 의학에서는 현미경이 전쟁터에 나가는
병사
의 총에 견줄만하다.17세기 네덜란드의 레우벤후크는 현미경을 갖고 최초로 미생물을 관찰했다. 당시 과학자들이 현미경에 거는 기대는 지금보다 훨씬 컸다. 그들의 믿고 있던 기계적 철학이 제시하는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전쟁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쟁 중 다리가 잘린
병사
가 병원에 온 뒤에야 아프다고 느끼는 이유는 생명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긴장감이 병원에 오기 전까지 통증을 억눌렀기 때문이다. 사람의 정신력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폐암과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위해 전쟁이 벌어지던 와중에도 러시아로 갔다. 하지만 망원경을 설치하자마자 러시아
병사
들에게 체포돼 독일로 송환되고 말았다.다음번 일식은 1919년 5월에 있었다. 그때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별빛이 휘는 현상을 관측하는데 성공한다. 당시 에딩턴과 그의 일행은 일식이 일어나는 적도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염색체 해독 작업(인간게놈프로젝트)은 생로
병사
의 비밀을 담고 있는 인간 유전자의 30억개 염기서열을 규명하는 일이다. 이미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됐다고 알려졌지만 1%의 염기서열은 알아내지 못했다.그동안 과학자들은 인간의 유전자 조각을 ... ...
여우야, 여우야, 살았니 죽었니?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인 파악이 어렵다고 난색을 표명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일각에서는 자연사 또는
병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야생 여우의 수명은 10-12년이나, 만 1살 전에 60%가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양구군청, 산양사랑모임은 여우가 발견된 지역 주변에서 5개의 배설물을 수거했다.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헬멧처럼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전투모 등을 결합시켜 명실공히 터미네이터
병사
를 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여기에 2001년 역시 DARPA의 지원을 받아 밀레니엄제트사가 개발한 외골격 비행체 솔로트렉(Solotrek)을 더하면 터미네이터나 로보캅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효과를 낼 전망이다. 솔로트렉은 최고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때문에 나중에 피사체 위치가 바뀌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원경에서 뛰어다니는
병사
들은 모두 가상 캐릭터들이다. 화면 중간부터 위쪽의 원경에는 컴퓨터로 제작한 가상캐릭터들로 채워진 것이다. 가상캐릭터의 움직임은 모션캡처기술로 만든다. 모션캡쳐란 공간속 사람과 사물의 위치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