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바일"(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진행하고 있다. 오션은 마이크로비드가 들어있는 제품인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앱 ‘비트 더 마이크로비드’ 한국어판을 만들었다. 이 앱은 2012년 네덜란드 시민단체인 북해 재단과 플라스틱 수프(Plastic soup) 재단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2013년부터 유엔환경계획(UNEP)과 국제동식물협회(FFI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엠페사는 ‘모바일’의 ‘M’과 스와힐리어로 ‘돈’을 뜻하는 ‘Pesa’가 합쳐진 ‘모바일 머니’를 의미해요.케냐는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도 은행은 커녕 ATM 기기도 보기 힘든 국가예요. 이런 곳에선 돈을 인출하거나 송금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지요. 그래서 아프리카에서 은행 계좌를 가진 ...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수 있어요.”동방통신 대외협력부 니령은 기자단 친구들에게 항주시에서 사용하는 경찰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 주었어요. 스크린에 경찰이 아이콘으로 배치돼 있는데, 실시간 온오프라인 통신도 가능하다고 해요. 동방통신은 이밖에도 전자금융 네트워크 및 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동물 모양의 말에는 10cm 이내에서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가 들어 있다. 모바일과 블록을 연결했다는 이름처럼, 현실에서 블록을 쌓으면 모블로와 연동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 화면에 블록이 똑같이 나타난다.거꾸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블록을 제어할 수도 있다. 화면을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어려웠지만, 영어가 열정을 막을 수는 없었어요. 수업에서 이용한 ‘게임 샐러드’는 모바일 게임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에요.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게임을 만들 수 있도록 ‘드래그 앤드 드롭★’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게임은 6만 5000개 이상이고, 이 ... ...
- ‘까똑, 까똑’ 문자 중독, 특히 여학생에게 위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56.9%가 매일 2시간 이상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문자 전송이 여학생의 학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델라웨어카운티커뮤니티 컬리지 켈리 리스터-랜드만 교수팀은 청소년 403명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뤄져 있다. 그들은 편의점에서 남는 음식을 나눌 수 있는 ‘삼김구출대작전’이란 모바일 앱 서비스를 개발했다. 유통기한이 다가올수록 점점 가격을 원가에 가깝게 떨어뜨려 유통기한이 되기 전에 팔 수 있게 해 주는 앱이다. 앱은 아이폰에서 Objective C언어로 ‘Xcode’를 이용해 개발했다 ... ...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뤄지는 인터넷전문은행도 탄생한다. 핀테크 자산운용사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같은 모바일 기기로 개인이 언제든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곳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국 월가와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를 ‘로봇(robot)’과 ‘조언자(advisor)’의 합성어인 ‘로보어드바이저’라고 부른다.이제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상태다. 전문가들은 2020년이면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모든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생체인식 장치가 들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수학으로 인식하는 생체정보생체인증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사용자 자신이 자신임을 확인받는 인증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따르면 사물인터넷에 이용될 기기는 가전제품이 3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PC나 모바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 저성능 기기다. 연산능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복잡한 암호화 알고리듬인 RSA알고리듬이나 AES알고리듬을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과학동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