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시"(으)로 총 2,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강과 바다 너머, 땅과 땅을 잇는 튼튼한 다리! 거센 바람과 물결을 견디고, 셀 수 없이 많은 자동차와 기차가 지나가도 끄떡없어요.기다란 다리가 어떻게 그렇게 튼튼할 수 있을까요?1편 ‘아치교’, 2편 ‘트러스교’에 이은 마지막 편! 긴~ 끈을 연결한 듯한 길~쭉한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 ... ...
- [현장취재] 수학으로 하나 되는 제1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학생이 수학 보물찾기 3등상을 들고 기쁜 얼굴로 말했어요. 9월 3일 토요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인과영은 학생들의 활기로 가득 찼습니다. 바로 세과영과 함께한 제1회 수학교류전 때문이었어요. 과학예술영재학교는 과학, 수학뿐만 아니라 예술과 인문학 등을 융합해 다양한 분야에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활용할 수 있는 재난 대응시설을 만들자는 이야기가 최근 나오고 있다”며 “예를 들어, 도시에 공원을 만들 때 지하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과 지상에는 대피소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녹지를 많이 확충해야 폭염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 부연구위원도 ...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어려워 그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지만, 새의 알은 색상과 무늬가 천차만별입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치의 알은 청회색 바탕에 작고 어두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 다. 물가에서 자주 보이는 괭이갈매기의 알은 올리브색 바탕에 검은색에 가까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다. 비둘기는 하얗고 무늬 ... ...
- 100년 뒤, 어디서 살아야할까? 기후부동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오세요! 기후 부동산입니다.기후 변화가 걱정돼 살고 있는 도시를 옮기고 싶으시다고요? 그럼 잘 찾아오셨습니다. 우리 기후 부동산이 100년 뒤, 또는 그보다 먼 미래에 어디서 살아야 할지 대신 알아봐 드릴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100년 뒤, 어디서 살아야할까? 기후부동산Intro SF 시나리오 ... ...
- [특집] 피할 수 없다면 띄워라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해수면 상승을 피할 수 없다면 아예 도시를 바다 위에 띄워보는 건 어떨까. 해상 도시 ‘오셔닉스 부산’은 유엔 해비타트와 개발기업 오셔닉스, 부산시가 공동 추진하는 해상 도시 시범모델이다. 부산시는 2022년 4월 디자인을 공개하면서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 계획을 밝혔다. ...
- [인터뷰] 집값, 당장은 안 변하더라도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기후위기에서 살아남을 도시는 배수시설과 녹지율 등 인프라가 좋은 도시다. 도시 지역은 결국 인프라 구축이 제일 중요하다. 로우임팩트디자인(LID)이라고 표현하는데, 투수가 잘 되는 포장, 옥상 녹화 등이 있다면 중간 중간 물을 담아둘 수 있어 빗물이 한꺼번에 낮은 곳으로 흘러 침수피해를 ... ...
- [인포그래픽] 달과 화성에 세워질 우주도시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민간기업 주도의 우주 개발,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면서 인간의 우주 거주 계획이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달을 시작으로, 화성까지. 또 다른 행성에서 살아가려면 여러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달과 화성의 환경,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미래 우주기술을 알아봤다. 아폴로 17호에 탑승했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불투수율이 2020년 52%까지 높아졌다. 불투수율은 땅에 물이 스미지 않는 정도를 뜻한다. 도시에서 쉽게 발생하는 지하수와 하천이 마르는 현상, 열대야 등의 원인 모두 불투수율이 늘어난 탓으로 꼽힌다.한 교수는 “빗물저류시설을 만드는 것 뿐 아니라, 빗물을 모아둘 작은 저수조를 여럿 만드는 ... ...
- [4컷 만화] 폼페이 유적지 지킴이 로봇 개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데에 로봇 개가 투입됐습니다. 폼페이는 79년에 화산 폭발로 사라진 이탈리아 남부 도시예요. 발굴된 폼페이 유적지에는 벽화 등 문화재가 많은데, 유적지의 풍화가 잘 일어나고 유적지를 파괴하는 도굴범이 많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월 28일 이탈리아 폼페이고고학공원은 로봇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