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2%도 안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암호화 영역’이 차지하고 있다.최근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은 이 영역에 주목했다. 자폐와 관련된 유전 변이가 비암호화 영역에 있다는 것을 찾아 7월 15일 국제 학술지 ‘분자 정신의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380-022-01697-2연구팀은 2011년부터 자폐인과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음원 연구를 한 것은 아니다. 보다 현실적인 이유가 있었다. “성적이 안 됐어요. 제가 대학원 진학 당시 통신 쪽이 가장 ‘핫한’ 분야였어요. 음성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 밥 먹고 살기 힘들 것 같다는 의견이 팽배했죠.”실제로 김 대표가 박사학위를 받던 2007년에는 음성 관련 연구를 하는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읽고, 그 종이에 본인의 생각을 적어 두었습니다. 2011년 5월, 그는 미국 미시간대학교로 대학원을 옮기기 전까지 한국을 다녀오겠다며, 짐을 맡아 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함께 일리노이대에서 공부하던 저는 여러 짐과 함께 논문이 가득한 상자를 제 집에 두었습니다.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그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않습니다. 하지만 히로나카 교수라는 멘토를 통해서 또 다른 세계를 보게 된 학생이, 대학원 입학 허가가 거부되는 어려움을 뚫고 세계 최고의 수학자 반열에 올랐습니다. 미래의 불확실함으로 고민하는 젊은이들에게 롤모델을 보여주는 노력은 계속돼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나만의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분야 : 편미분방정식, 유체역학수상 : 퍼트남 콩쿠르 입상(2010),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자코버스 펠로우십(2017), 포스코사이언스펠로(2019) 정인지 교수는 물이나 기름처럼 밀도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는 비압축성 유체에 관한 오일러 방정식을 연구합니다. ‘오일러 방정식’은 100만 달러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유학하던 시기에 태어났다. 두 살 때부터 한국에서 자란 허 교수는 대학원 석사까지 한국에서 마쳤다. 또 한국 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 교수로 매년 여름마다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학계가 허 교수의 수상에 함께 기뻐하는 이유다. 과학 기자 꿈꾸며 물리천문학과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는 “처음에는 일본 사이트를 번역해가며 정보를 찾거나 개미를 연구하는 대학원생 형들에게 문자로 질문해 궁금증을 풀었다”며 “그때 연락하던 사람들 중에서 지금은 조교수나 선생님이 된 사람도 있다”고 했습니다.개미 연구자와 개미덕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연구자들이 ...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공계 인력 전체를 늘려야 한다. 석·박사 등 반도체 산업을 이끄는 키맨도 필요하다. 대학원 인력 보강이 급선무다. Q.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정책은.한국이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30년 동안 1등 할 수 있던 원동력은 과거 대학의 학과 1등이 전자공학과, 물리학과였기 때문이다. ... ...
- [특집] 꿀벌도 헷갈려! 식물계절이 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리가 한 해 동안 달력을 보고 생활하듯이, 식물도 각 계절에 맞게 변화합니다. 봄에는 잎과 꽃이 피어나고,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며 잎이 떨어져요. 식물의 변화에 따라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생활하는 모습도 달라지죠.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에 따른 식물들의 변화 주기인 ‘ ... ...
- [특집] 위성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계절 연구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는 “데이터를 활용해 식물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계속 밝혀나가는 것이 연구자들의 과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식물계절 데이터 축적에는 시민과학이 필수!연구자들은 사람이 직접 관측해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