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우리나라 수학 역사를 그
대
로 담다! 보물 창고 만든 '김영구 수집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하고 있어요. 그래서 과거 자료들을 보고 제
대
로 연구할 수 없는 환경입니다.2019년 한
대
학원생은 박사 논문을 쓰기 위해 서울에서 김영구 씨가 있는 의령까지 몇 차례 내려와 자료를 보고 갔을 정도로 국내 연구 환경이 열악합니다 ... ...
[특집] 만화가 AI로 영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일본 만화의 신이라 불린 故데즈카 오사무(1928∼1989) 작가의 신작 이 사후 31년만에 발표됐어. 후배 작가들과 AI(인공지능)의 협업으로 탄생했다는 소식에 화제가 됐지. 그런데 ... AI가 예술의 모든 부분을
대
체할 수는 없지만 반복적인 노동의 문제는 최소화될 거라 기
대
해요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 이세인 이화여
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
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냉동인간이 깨어났다. 정순영이란 이름을 가진 그녀는 ‘할머니’다. 정순영이 깨어나 만난 이는 그녀가 낳은 딸의 딸 그리고 그 딸의 딸이
대
를 거듭 ... 있고요. 돌봄이란 단어를 확장해서 쓰면 이 간극을 메우고 모두가 돌봄에 종사하는 새로운 세
대
를 탄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됐어요. 기획부터 반년 이상 일을 진행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긴 시간 동안 해왔던 일을 제
대
로 마쳤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그 뒤 다른 알고리듬으로 계산한 결과를 검산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때가 가장 무섭고 긴장됐어요. 계산 과정에 실수가 있으면 결과가 바뀌니까요. 마침내 신기록을 ...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초소형 위성은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의 256개 파장
대
역을 측정해 조사하려는
대
상의 고유한 특성을 알아낸다. 예를 들어 위성이 찍은 강 사진을 분석해 녹조와 같은 이상징후를 판별할 수 있다. 루미르는 SAR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기존 카메라는 야간에는 관측이 불가능하고 구름과 비를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교수. 서울
대
에서 한국 과학기술사를 전공했다. 역동의 한국 현
대
사를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을 빼놓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통일벼, 한글타자기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오답이라는 해답’이 있다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과학자가 말하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그 내용을 뼈
대
로 책도 쓰는 중이며, 유튜브도 시작해 볼 생각이다. 지금 생각하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품위있게 살자’이다. 품위있게 살기 위해서는 현재에 충실해야 하고, 현재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지금 해야 할 ... ...
[퍼즐 마법학교] 옴니스 거리 나눔 장터로!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3호
“안 쓰는 물건은 나눔 장터에서 팔면 어때? 마침 내일 옴니스거리에서 나눔 장터가 열린
대
.”문이 열리고 나눔 장터가 눈앞에 펼쳐졌어. 몇몇 마법사들은 이미 자리를 잡아 물건을 팔고 있었어. 우리도 얼른 물건을 진열해야지! 상자에 담아온 물건을 책상 위에 펼쳐두니 제법 그럴듯해 보였어.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시
대
가 정해지는 역사적 현장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과연 새로운 지질시
대
인 인류세는 부산에서 그 막을 올릴 수 있을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다려보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