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달나라 개척자의 필수품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완성!올해 6월, 중국과학원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달의 지질지도 중 가장 정밀하고 규모가 큰 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했어요. 2004년부터 시작해 완성까지 10년이 넘게 걸렸죠. 이번에 만들어진 지도는 1:250만 축척의 지도로, 지도에서 1cm는 실제로는 25km에 해당합니다.연구팀은 이 지도에 1만 2341개의 ... ...
- [지구사랑탐사대] 결코 하찮은 녀석이 아니다! 우리 생태계의 소중한 친구 피라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알고 있는 사실과 달라서 당황했지만, R타입과 B타입을 가르는 기준이 혹시 하천의 규모가 아닐까하는 새로운 시각이 생겼어요. 실제로도 그런 경향성이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앞으로 더 조사해 봐야겠죠.피라미속 어류는 산란기가 되면 몸이나 지느러미의 표면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돋는데,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화살을 쏘아 올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위도 30° 이하의 지방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지요.무역풍은 전 지구에 걸쳐서 부는 큰 규모의 바람이기 때문에 지구의 기후와도 큰 연관이 있어요. 즉, 무역풍이 평소보다 강하게 불거나 약하게 불면 기상이변이 생길 수 있지요. ‘라니냐’는 스페인어로 ‘여자아이’라는 뜻으로, 평소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음머~! 고기를 주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소 1000만 마리와 양 2600만 마리가 살고 있어요. 뉴질랜드 인구 500만 명보다 7배 큰 규모죠. 이런 탓에 뉴질랜드 온실기체 배출량의 절반 가량이 농축산업에서 나와요. 소위 ‘트림세’는 이를 줄이기 위한 시도지요. 뉴질랜드의 제임스 쇼 기후변화 장관은 초안을 발표하며 “대기에 배출하는 ... ...
- [특집] 집에서 만나고 응원봉으로 빛난다! 공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공연장에 가본 적 있나요? 같은 연예인을 응원하는 사람과 함께라면, 공연의 재미도 더욱 커질 거예요. 과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빛나는 공연장으로 가 볼까요 ...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공연을 소비하려는 욕구가 자극되면서 오프라인 공연 규모도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최대 규모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까지 약 2만명의 시민들이 17종의 생물을 탐사하는 거대 프로젝트로 거듭났다. 지구사랑탐사대의 지난 10년을 되돌아봤다. 과학은 과학자들만 할 수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열렸어요. 제 두 번째 GSA였는데요. 원래대로라면 2021년에 열렸어야 했지만, 코로나19로 대규모 학회를 열 수 없어 역사상 처음으로 4년이 아닌 5년 만에 열리게 됐습니다. 그사이에 박사과정생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저도 조금 성장했고, 이번에는 연구 발표도 할 수 있어 의미있었습니다. 저는 학회 ... ...
- [과학뉴스]샌드위치 속 달걀흰자 바닷물 속 미세 플라스틱 거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정화에 사용하는 가장 저렴한 재료인 활성탄보다 정화 효과가 훨씬 컸다”며 “더 큰 규모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 공정을 다듬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화보] 귀엽게 세태를 꼬집는 작가, 장 줄리앙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않는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있어요.바로 장 줄리앙 작가인데요. 그의 작품을 볼 수 있는 대규모 전시회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고 있어요. 어떤 그림들인지 살짝 엿볼까요 ...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과학동아 l2022년 12호
- doi: 10.1126/science.abo4076 통가 해저화산은 1월 15일 격렬하게 분화하면 서 역대 최대규모 화산으로 기록됐다. 분화 당시 발생한 쓰나미는 1만km 떨어진 남미 대륙까지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수천 명이 집을 잃었다.이례적인 화산 폭발인만큼 화산재 기둥의 높이도 모호했다. 일반적인 화산재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