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월 28일, 토머스 하퉁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뇌 오가노이드로 만들 차세대 바이오컴퓨터를 ‘오가노이드지능(OIOrganoid Intelligence)’이라 부르자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즈 인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3389/fsci.2023.1017235 AI(인공지능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역시 최근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데요. 올해 3월 유밍 궈 호주 모나시대 교수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세계 인구의 0.001% 만이 초미세먼지(PM2.5)로부터 자유롭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랜싯 플래니터리 헬스’에 발표했습니다.doi: 10.1016/S2542-5196(23)00008-6 연구팀은 2000년~2019년까지 65개국 544 ...
- 쥐가 먹은 나노플라스틱 2시간만에 뇌에서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의대, 미국 바사르대, 헝가리 데브레첸대 등 공동연구팀은 쥐가 먹은 나노플라스틱을 뇌에서 발견하고, 플라스틱의 침투 방법을 컴퓨터 모델링으로 추정해 ‘나노물질’ 4월 19일자에 발표했다. doi: 10.3390/nano13081404 5㎜ 이하의 미세플라스틱과 1㎛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하에는 물이 대량 묻혀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미국 행성과학연구소와 NASA 등 공동연구팀은 화성 북반구 물 분포지도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0-01290-z 연구팀은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 궤도선 등이 수집한 데이터 20년 치를 분석해 이 같은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대략 100~2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매우 작은 세포외소포체다. 공동연구팀은 유글레나 그라실리스에서 베타글루칸(면역, 피부재생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다당류)이 가득 든 세포외소포체를 추출해 피부세포로 전달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지름 2~5탆(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의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전기 에너지가 가해질 때 탄소뿐만 아니라 촉매까지 변하는 것을 막는 방법도 서울대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남 교수는 “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미만의 얇은 탄소막을 만들어 촉매에 씌웠더니 촉매가 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환원을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성과는 2021년 ... ...
- 물리적으로 그네타는 궁극의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방법을 물리적으로 설명해냈다. 일본 주몬지대, 나고야대, 홋카이도대, 호주 맥쿼리대 공동연구팀은 그네를 타는 가장 올바른 방법은 초반 단계에서 그네가 땅바닥과 가장 근접할 때 몸을 뒤로 젖히고, 흔들림이 반복될수록 점차 몸을 뒤로 젖히는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라고 ‘물리학리뷰E’ 4월 1 ... ...
- [피플] 카파렐리 교수의 업적 BEST 3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정확한 움직임을 알 수 없어 특이점이 있는지 밝히는 게 중요해요.1982년 카파렐리 교수는 공동 연구자와 함께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원래 해인 함수에 특이점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지만, 특이점이 있다면 이것들을 모았을 때 선을 만들 수 없을 만큼 매우 작아야 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
- [뉴스&인터뷰] 기후 비밀을 쫓는 탐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말했다. 우리 행성의 거주 가능성은 이미 극단팀머만 단장은 제3차 IPCC 평가보고서의 공동 저자이자 제5차 평가보고서의 주저자다. 그는 지난 3월 발표된 제6차 종합 평가보고서에 대해 “기후변화의 위급성을 잘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우리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이 기존보다 50% 늘어, 지구가 ... ...
- [영화 속 SF]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영화 속 개조생명체들은 실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한 예로 2020년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 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생쥐에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해 생쥐의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 10.1126/scitranslmed.aaz8664 백색 지방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방으로, 우리가 흔히 보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