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짜기
산골짜기
협곡
산간
산골
두메
골짜구니
d라이브러리
"
계곡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빙하가 이동하면서 주변을 깎아 놓은 거야. 노르웨이에 발달한 피오르는 이런 U자형
계곡
에 바닷물이 들어오면서 생긴 지형이지. 또 빙하가 녹은 물이 주변 웅덩이에 고이면서 캐나다의 루이스 호수와 피에토 호수처럼 아름다운 장관을 만들어 내고 있어.우리나라에서는 빙기의 흔적으로 차가운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방법도 있다. 깊은 산
계곡
에서 조심스레 바위 밑을 들췄더니 가재가 있었다면 그
계곡
물은 1급수에 해당한다. 가재나 플라나리아, 산천어 등이 사는 물은 1급수로 오염 물질이 거의 없다. 물속의 오염물질을 분해할 때 드는 산소량(BOD)이 1ppm(100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이하여서 바로 마실 수 있다.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m2의 크기로 나뭇가지를 쌓아 생활한다. 멧돼지는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낮에는 어두운
계곡
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해가 지는 시각에 활동한다. ‘일부다처’의 동물이기 때문에 수컷 한 마리가 12월~이듬해 1월에 1~3마리의 암컷과 교미하며, 교미 후 수컷은 단독생활을 한다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많으면 배가 충돌할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사장교 구간은 배가 드나드는 관문이 된다.
계곡
을 넘어가야 하는 구간이나 교량 아래에 도로 같이 다른 구조물이 있어 교각을 세울 수 없을 때도 사장교가 쓰인다. 큰그림 보러가기바다 가로지르는 빨랫줄세계에서 가장 큰 ‘배’일까. 2012년 전북 군산시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돼 공중으로 흩날린다. 폭포 바로 아래에는 세차게 떨어진 물이 깎아 놓은 ‘악마의
계곡
’이 있다.또 브라질에 있는 이구아수 폭포는 세계에서 물줄기가 가장 많은 폭포다. 너비는 4.5km, 물줄기가 떨어지는 평균거리는 70m나 된다.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무려 20km 밖에서도 들릴 정도 라고 한다. 이 두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상업 활동이 늘수록 하수나 쓰레기도 많이 생기죠. 하수시설이 제대로 없으니 쓰레기가
계곡
으로 그대로 유입될 수밖에 없어요. 이곳 주민들에게는 먹고 사는 문제가 우선 급해요. 자연보호는 아직 먼 얘기죠.”“한국 기후변화 연구는 이론뿐”남체바자르 얘기를 꺼낸 엄 대장의 표정은 시종일관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금까지 알고 있는 산에 대한 세부 정보를 종합해 산을 전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계곡
이 어디서 시작돼서 어디서 끝나는지, 어떤 나무가 많은지 등을 파악해 커다란 지도를 그릴 수 있어야 최적의 길을 찾을 수 있다.생물학 연구도 마찬가지다. 어떤 생명 현상, 예를 들어 심장이 뛰는 원리 자체가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동안 죽음의 계절이 이어졌지만 인류는 생존을 포기하지 않았다. 끝없이 펼쳐진 빙하의
계곡
과 칼날처럼 솟아오른 거친 산맥을 넘으며 말이다. 또다시 찾아오는 빙하시대에도 인류는 당당히 추위에 맞서 싸우며 문명을 이어나갈 것이다. 온실효과와 빙하시대 : 온실효과로 남극의 빙하가 녹고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외에도 눈에 띄는 작품이 많다. 당장이라도 굵은 뒷다리로 폴짝 뛰어오를 것 같은 ‘
계곡
산개구리’(박형진), 메뚜깃과 곤충으로 팥밭에서 산다고 해 그 이름이 붙은 ‘팥중이’(정재국), 날카로운 발톱으로 먹이를 움켜쥔 ‘송골매어린새’(이우만), 줄기를 꺾으면 액이 나오는 덩굴성 식물인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활발한 5월이 채집하기 가장 좋지만 일반
계곡
에서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오염되지 않은
계곡
이 있다면 물속의 돌을 뒤집으며 찾아야 한다. 플라나리아는 빛을 싫어하는 음성 주광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 돌 아래나 어두운 곳으로 몸을 숨긴다. 채집할 때 손으로 떼어내거나 나뭇가지로 털어내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