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객관"(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들여다 보자! 수능로봇의 머릿속로봇도 공부를 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공부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 받기 위해 시험도 치른다. 이들은 어떻게 공부하고 시험을 치를까.지금까지 개발됐거나 개발 중인 인공지능기술은 목적에 따라 크게 언어 지능, 시각 지능, 학습 지능, 뇌인지 컴퓨팅 네 가지로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야구에서 핵심적인 이론적 근거다. 수많은 시즌의 누적된 기록을 이용해 야구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찾고자하는 세이버매트릭스의 핵심 지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1위팀 삼성 라이온즈와 2위팀 NC 다이노스를 제외하고는 순위가 모두 빗나갔다. 승률은 롯데 자이언츠만 비슷하다.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생명을 포기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와트니는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생존 방법을찾는다.만약 먼 미래에 화성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다면 와트니를 떠올려 보자. 상황을 숫자로 바꿔 생각할 수 있다는건 화성에서도 생존할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를 좋게 생각하느냐가 자존감이다. 한 가지 알아둬야 할 점은 자존감이 눈으로 보이는 객관적인 성공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남들에게는 ‘엄마친구아들’로 비치는 완벽한 사람이 자존감이 낮을 수도 있고, 크게 내세울 것 없는 사람이 만족하며 살 수도 있다. 결국 자존감은 내 마음먹기에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판결했다.내가 쓴 글이 표절일 가능성표절 여부를 판단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그래서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할 때도 있다. 두 문서에 비슷한 문장이 얼마나 있는지를 숫자로 나타낸 표절율이 대표적이다. 표절 검사 프로그램 ‘카피킬러’를 개발한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우연히 같을 수 있는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뇌의 감각운동 피질에서 나오는 SMR파(12∼15.9Hz)와 Mid-베타파가 증가했다. 실재감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처음으로 돌아가서, 기자가 체험한 크레센트 베이의 실재감을 수치로 바꾸면 얼마가 나올까. 실재감 설문결과나 뇌 활성화 정도를 찾아봤으나 아쉽게도 아직 ...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혹사 여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 해 세이버매트릭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빌 제 임스가 고안한 마무리 피로도(CF, Closer Fatigue)를 살펴보자. 마무리 피로도의 공식은 아래와 같다.마무리 피로도가 특이한 점은 투구수가 아닌 타자수를 기준으로 피로도를 평가한 다는 것이다. 마무리 투수는 ...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수가 중요한 이유를 이야기했다. “일반 언어로는 정확한 양을 나타내기 힘듭니다. 객관성을 추구하는 과학의 언어가 수인 이유입니다.”김 교수는 자연상수를 특별히 강조했다. 고등 수학으로 갈수록 자연상수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진다는 설명이었다. 자연상수를 밑으로 갖는 지수함수($e^{x}$)는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시선에서 전망해 보자.*세이버매트릭스 게임이론과 통계학을 바탕으로 야구를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방법론. 1970년대 미국의 빌 제임스가 창립한 ‘미국야구연구협회’에서 시작됐다. 타율이나 방어율 같은 고전적인 기록이 선수들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 자연은 물론이고 사람이 사는 사회도 객관적인 이성으로 이해하고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는 계몽주의의 씨앗이 전유럽에 뿌려졌죠. 사람들은 자연에도 없는 위 아래의 구분이 왜 우리가 사는 세상엔 아직 있냐는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