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봉"(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습작을 남겼는데, 이중 130점이 영화로 재탄생했지요. 바로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에서 개봉한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예요. 영화에서는 반 고흐의 편지를 전해 주던 우체부 조셉 룰랭의 아들인 아르망 룰랭이 주인공으로 등장해요. 반 고흐가 죽은 지 1년이 지난 후, 아르망 룰랭은 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졸업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이유로 지구온난화가 슈퍼 엘니뇨와 라니냐를 부추긴다는 연구도 있지요. 지난 10월 개봉한 영화 은 기상이변을 막기위해 과학자들이 기후를 조작한 결과 대재앙이 닥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 그런데 실제로 기후를 조작하려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대형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죄를 심판받는다. 그런데 첫 번째 ‘도산(刀山)지옥’에서부터 난관이 시작된다. 12월 개봉 예정인 영화 ‘신과 함께’는 주호민 작가의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싱크로율 99%의 캐스팅 라인업 때문에 공식 트레일러가 공개되기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다만 웹툰에서 저승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68년 이후 이어진 혹성탈출 시리즈로는 일곱 번째로, 대미를 장식하는 영화다. 2011년 처음 개봉한 이번 시리즈는 특히 고도의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총동원해 유인원을 사실감 있게 표현한 것으로 호평이 자자하다. 영화의 시각효과를 담당한 웨타디지털 사의 앤더스 랭글랜즈 감독과 한국인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만질 일이 있었을까. 청소를 하지 않는 창 틈을 보면 누가 사는지 알 수 있다2013년에 개봉한 영화 ‘숨바꼭질’에는 이런 장면이 나온다. 현관문 옆 한 켠에 작은 동그라미와 세모, 네모, 그리고 숫자가 쓰여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그 집에 살고 있는 구성원이다. ‘성인 남성과 여성이 한 명,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초 개봉했던 영화 ‘공조’는 북한 지도부의 비자금 조성을 위해 사용되던 달러 위조용 지폐 동판을 빼돌려 쫓기게 되는 장군의 이야기를 다뤘다. 정교한 지폐 동판으로 돈을 인쇄하면 현재의 진품 여부 검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자정보’를 이용한 돈이 실용화되면 이런 스토리 ...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등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를 충분히 즐기면서 동시에 앞으로 개봉할 마블 시리즈에 관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영화가 끝나고 나오는 쿠키 영상★도 놓치지 말자.쿠키 영상★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모두 올라간 뒤 나오는 서비스 영상. 보통 차기작에 관한 힌트가 담겨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작품들이 모두 흥행에 성공했지요. 2007년에는 최초 개봉 30주년 기념 디지털 복원판이 재개봉했어요. 당시 한국 애니메이션 1위 기록을 뛰어넘으며 전국 75만명이 관람을 했답니다.브이센터는 다양한 전시물을 관람만 하는 곳이 아니에요. 직접 로봇을 조종해 보기도 하고, 그 안에 숨겨진 여러 가지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퓨쳐&바디’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Transcendence2014년 개봉한 SF 영화 ‘트랜센던스’에는 주인공인 윌 박사가 자신의 뇌를 다운로드해서 슈퍼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놀랍게도 ‘트랜센던스’ 프로젝트는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 드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그건 엄청난 공간의 낭비 아니겠니?" 1997년 개봉한 영화 ‘콘택트’의 명대사다. 자칫 감성적인 대사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오히려 과학적이다. 이 관장은 “어마어마하게 큰 우주에 지구에만 지적 생명체가 있다는 건 비합리적이다”라며,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