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12
해마를 3차원 구조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올해 2월 한국멀티미디어
학회
지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컴퓨터그래픽(CG) 작업에 많이 쓰이던 VTK(Visualization ToolKit)를 개조해서 만든 소프트웨어다. 해마의 머리 부분에서 꼬리 부분까지 총 45장의 단면사진을 합성해 3차원 구조로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11
수 있습니다. 분할된 구역과 도엽번호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거예요. 도엽번호는 국제지리
학회
에서 정한 만국색인번호랍니다. 지도를 볼 때 도엽번호를 찾아 번호에 담긴 뜻을 알아보세요.축척으로 실제 거리를 줄여요!실제 땅을 종이에 담으려면 거리를 줄여서 나타내야 하는데, 이때 축소한 비율을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11
년 전부터 해양 생태계에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
학회
(ZSL)가 9월 15일 발표한 ‘해양생명 보고서’에 따르면, 해양 생물 1200종을 분석한 결과 1970년 이후 개체수가 49% 감소했다. 인간이 즐겨 먹는 물고기는 50%, 그 중에서도 특히 참치와 고등어는 무려 74%가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만든 새 날개
수학동아
l
201511
수학과 닉 무어 교수는 수학방정식으로 새 날개의 최적 모형을 만들어 ‘유체물리
학회
지’에 발표했습니다.무어 교수는 새의 날개나 물고기 지느러미의 신축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수학과 엔지니어링에 배경지식이 있는 연구팀과 함께 간단한 방정식을 이용해 최적의 새 날개 ... ...
[수학뉴스] 1729의 숨겨진 의미
수학동아
l
201511
‘하디-라마누잔 수’, 1729를 아시나요? 최근 켄 오노 미국 에모리대 교수는 인도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K3 곡면을 연구하기 위해 1729를 사용 ... 알 수 있는 좋은 예”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오노 교수가 펴내는 수학
학회
지인 ‘정수론 연구’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
과학동아
l
201511
사람의 동작을 보면 그 사람이 1분 뒤 어떤 동작을 할지 알아 맞출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사람의 행동을 6개월 동안 1분 간격으로 촬 ...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컴퓨터
학회
ACM의 학술저널 9월호에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11
방문했던 사람들을 가려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열린 세 개의
학회
참가자 91명에게서 샘플을 모았다. 특히 두 명은 이틀 동안 하루에 12시간씩 매 시간 단위로 샘플을 채집했다. 동시에 그들이 머문 자리에 있는 미생물 샘플도 수집했다. 전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11
대구광역시가 후원하고 (사)국제과학영재
학회
와 경북대가 주관하는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The 12th International Junior Science Olympiad, IJSO-2015)가 12월 2일부터 11일까지 대구에서 개최된다. IJSO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국제 올림피아드로 대회 참가국이 50여 개국에 이른다. 올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11
화성의 영구동토층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노하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화성
학회
는 유럽과 호주에도 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계획대로 된다면 연구소는 총 네 군데가 된다.1 바위에서 샘플 채취로버가 가지 못하는 복잡한 지형에는 사람이 직접 간다. 한 연구원이 험준한 바위 위에 올라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11
포함한 2~3개의 목록을 편집해 만든 것이라고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영국 ‘왕립천문
학회
월간회보’ 10월 1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지구의 자전축이 회전하는 팽이처럼 세차운동을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구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해 별 목록표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