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정
처녀기
처녀성
d라이브러리
"
처녀임
"(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허풍선이 사냥꾼 오리온
과학동아
l
199801
하늘의 적도에 걸쳐있어 지구상의 어느 위도에서나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는 2개의 1등성과 5개의 2등성으로 이루어진 하늘에서 가장 화려한 별자리이다.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세상의 모든 생물을 죽일 수 있다고 큰 소리를 치고다닌 허풍선이 사냥꾼이었다.그러나 결국엔 거만과 허풍에 대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
과학동아
l
199801
컬럼비아호(STS-87)가 16일 동안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돌아왔다. 컬럼비아호로서는 24번째 비행이며, 우주왕복선으로서는 88번째 비행이다.이번 승무원은 모두 6명. 그런데 승무원들의 국적과 인종이 제각각 달라 화제를 모았다. 선장 케빈 크레겔(41세)과 조종사 스티브 린드세이(47세)는 미국인으로 ... ...
처녀의 젖가슴이 큰 유일한 동물
과학동아
l
199712
세상에는 참으로 희한한 동물들이 많이 있다. 그 가운데 자식을 낳지 않아도 수유 기관인 젖가슴이 굉장히 큰 동물이 있다. 다름 아닌 인간이다. 물론 인간처럼 거대한 수유기관을 가진 동물로 젖소를 꼽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젖소의 커다란 젖가슴은 우유를 대량으로 착취하려고 인간이 ... ...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
과학동아
l
199712
신화의 세계에는 어김없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의 동물들이 등장한다. 때로는 사람의 죽음을 관장하는 엄격한 재판관의 형태로, 때로는 술이 취해 실수를 저지르는 망나니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사람들은 왜 불가사의한 동물들을 상상해냈을까. 그리고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11
SF작품들에는 늘 미래의 연도가 설정돼 있다. 작가들은 무한한 상상력과 날카로운 통찰력을 발휘해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미래의 사회상을 적중시키곤 한다. SF의 세계에서 등장하는 '예언'을 통해 미래에 우리 모습이 어떻게 변해 있을지 상상해보자.이 글을 쓰기 시작할 즈음, 정확히 말해서 1997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10
생물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닮은 개체를 만들어 그 개체로 하여금 자신의 생존방식을 지켜나가도록 한다. 이러한 생식기능은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으로 구분된다.성이란 무엇인가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 채찍꼬리도마뱀에 이르기까지 많은 생물이 무성생식을 한다. 박테리아는 먼저 몸의 크기 ... ...
백조의 머나먼 여행은 시작되고
과학동아
l
199709
9월, 금성이 서쪽으로 가라앉으면서 밤하늘이 살아날 때 백조는 하늘로 솟구친다. 목동자리의 아크투루스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가 서쪽으로 밀려나고 동쪽에는 어느새 플레이아데스가 살며시 자태를 드러낸다.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는 페가수스의 대사각형을 따라 성큼 떠오르고, 마차부의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09
동물이 짝을 유혹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호는 다양하기 이를 데 없다. 새들의 수컷은 노래를 불러 암컷에게 번식기를 맞이한 자신의 상태를 알린다.동물의 다양한 구애신호새 다음으로 소리를 잘 흉내내는 동물은 고래이다. 돌고래는 휘파람 소리로 암수가 의사소통을 한다. 수염고래의 수컷은 암컷 ... ...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7
쓰려져가는 피사의 사탑을 세우고, 영원히 돌아가는 물레방아를 만들 수 있을까. '착시'를 이용한 미술의 세계에서는 가능하다. 고대 건축물, 심리학, 그리고 예술작품에서 착시의 원리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자.피사의 사탑을 살리는 방법 여기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피사의 사탑이 있다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
과학동아
l
199707
장마도 7월 별자리 여행을 가로막지는 못한다. 오히려 가끔씩 소나기로 씻겨진 밤하늘은 1년 중 가장 깨끗하고 선명한 은하수를 보여준다. 이 시기 자정 무렵에는 은하수가 하늘의 천정을 가로지른다. 은하수를 관측하려면 달빛이 없는 이달 초순부터 17일 사이와 29일 이후가 좋다. 7월 밤하늘 여행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