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04
발휘하고 있긴 하나…과학고-KAIST 학사과정-KAIST 석·박사과정은 일류과학자가 되는
지름길
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현시점에서 내리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아직 세칭 일류과학자중에서 그 3단계를 거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최초의 과학고가 설립된지 이제 8년밖에 지나지 않았고, KAIST학사과정의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04
않게 중요한 것은 끈기, 즉 집념이다.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집념이 훌륭한 발명의
지름길
인 것이다.독일의 과학자인 에르리히가 발명한 '살바르산 606'은 6백5회를 실패한 끝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매독치료제다. 에르리히는 이 발명으로 1908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했다.고정관념은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04
사실이다. 적어도 주 1회 정도 미역국을 먹는 것이 바로 조상들의 지혜를 계승하는
지름길
이다.광산노동자들의 건강식돼지고기나 돼지비계도 공해방지에 탁효가 있다. 실제로 인쇄소나 광산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다.인쇄소에서는 납을 다루기 때문에 납독(鉛毒)을 입기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03
방법으로는 장기나 바둑을 들 수 있다. 바둑이나 장기는 패턴 인식력을 단련시키는
지름길
이 된다.공공기관의 게시판등 곳곳에 붙어있는 포스터를 예로 들어보자. 한장에 표시된 그림이 주는 효과는 의외로 많다. 포스터는 도형적 인식을 활용한 것이다. 한장의 평면적인 도형으로 사물 전체를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은하와 다른 은하 사이에서도 이러한
지름길
을 생각할 수 있다.모든
지름길
이 그렇듯이
지름길
이 갈라지는 곳에서는 길이 급하게 꺾어지는 법이다. 즉 벌레구멍은 시공간이 급하게 구부러지는 곳에서 시작된다. 아인슈타인에 따르면 시공간의 구부러짐이 중력과 동등하므로 여기서는 강한 중력이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02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런 만큼 거기에 알맞는 공부방법을 택하는 것이 고득점의
지름길
이라고 생각한다.현재의 우리나라 수학교육이 많은 비판을 받고 있음은 다 아는 사실이다. 특히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인 이후 그 비판은 더욱 거세어졌다. 논리적 사고의 배양을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01
기억시켜 놓았느냐가 그 세탁기의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이 기억저장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
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의 담당연구원들이 발생가능한 모든 경우를 예상하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충분한 실험을 통해 되도록 많은 지식을 마이컴에 전달해주어야 한다. 여기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09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아무튼 자기 나이에 맞는 수면을 취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
이다. 그러나 자기 나이에 맞게 자지 못한다고 해서 반드시 불면증은 아니다. 사람에 따라 장기수면파와 단기수면파가 있기 때문이다.장기수면파는 잠 뿐만 아니라 꿈도 많으며 평균 9.7시간 꿈나라에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09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암치료의
지름길
. 여기에 암세포를 추적해 파괴시키는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최첨단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일반 세균성 질병과 전염병은 완전 퇴치되었거나 또는 쉽게 치료되고 있다. 그러나 암은 아직 대표적인 난치병으로 남아있다.미국의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08
있어요."출제교수의 충고이번에는 출제경험이 있는 과기원 교수들로부터 합격의
지름길
을 들어 보자.작년까지는 과기원 학사과정 교수들만이 출제에 참여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석박사과정 교수들도 합류한다. 이 점이 출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뚜껑이 열려보아야 알겠지만 크게 달라지지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