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d라이브러리
"
용량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11
속으로 다가온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런 고성능 전자기기는 엄청난
용량
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반도체 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반도체의 성능을 결정하는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에 대해 알아보자.1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이란 무엇인가요?전기화학은 전자를 주고받으며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10
변기물 사
용량
과 용변 배출량1일 변기물 사
용량
=1인 평균 63L×5000만 명=315만t1년 변기물 사
용량
=하루 평균 315만t×365일=11억 4975만t1일 대변량=하루 평균 225g×5000만 명=1만 1250t=10t 트럭 1125대1일 소변량=하루 평균 1.5L×5000만 명=7만 5000t=10t 소방차 75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09
FACTS)’이다. 교통량에 따라 차선 수가 바뀌는 가변차선처럼 수요량에 따라 송전선로의
용량
을 바꾼다. 한국전력과 함께 전남 강진에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 장비를 설치하기도 했다.또 ‘초고압직류송전(HDVC)’ 연구에도 착수했다. 현재 전기를 나를 때는 전압이 규칙적으로 변하는 교류를 많이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09
사용하고 있다.빗물을 저장하기 위해 단지 건물 4동 중 한 동의 지하 3층에 1000t
용량
의 저장탱크 세 개로 이뤄진 3000t 규모의 빗물저장탱크를 설치했다. 첫 번째 저장조는 지붕에서 모은 빗물을 저장한다. 두 번째 저장조에는 단지 내 주차장과 도로에서 모은 빗물을 저장해 침수를 예방하고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09
확대됐다. 그리고 저장 메모리가 확장되자 여러 악기의 소리를 담는 사운드뱅크도 대
용량
으로 변화돼 실제 음악과 같은 미디가 탄생했다. 그리고 MR이라는 음원이 탑재됐다. 원래 MR이란 실제 악기로 제작된 가수들의 원곡 반주를 의미한다. 이제 반주기에 들어 있는 음악은 40여 명이 연주한다. ... ...
방사성 물질 오염 토양-콘크리트, 한 달 안에 정화한다
과학동아
l
201107
물질 중 우라늄과 코발트는 98%, 세슘은 96%까지 한 달 안에 제거할 수 있다. 1년 동안 200L
용량
의 드럼통 50개를 처리할 수 있으며 6개월 간 80% 정도 제염했던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것이다.먼저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에 질산 용액을 넣어 방사성 물질을 녹인다. 질산 용액을 침전시킨 뒤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06
것과 비교한 결과 고대포유류가 파충류에 비해 뇌
용량
이 50% 이상 컸다. 특히 뇌
용량
과 비례해 비강도 컸고, 뇌 피질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위도 더 넓었기 때문에 발달된 후각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연구팀은 고대포유류가 현생 포유류로 진화하면서 뇌가 세 단계에 걸쳐 발달했을 것이라는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6
분리된 해열진통제는 처방전 없이 누구나 쉽게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적당한
용량
을 바른 용도로 먹는 것이 안전하다.]게보린이 ‘조퇴하는 약’?식약청의 조치로 논란은 어느 정도 마무리 되는 듯 했다. 하지만 사고는 엉뚱한 곳에서 일어났다. 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 학교에 등교하지 않거나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06
그러나 아직
용량
이 리튬이차전지의 5%밖에 되지 않아요. 앞으로 수퍼 커패시터의
용량
을 늘려볼 생각입니다. 성공한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또 한번 진화할 수 있겠죠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06
욕조에 채워지는 물의 양과 시간과의 관계, 온도와 불쾌지수와의 관계, 내려받을 파일의
용량
과 시간과의 관계처럼 두 양 사이에 존재하는 규칙이 모두 함수거든요.이처럼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이해하면,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요. 바로 함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