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호른
촉각
녹용
d라이브러리
"
뿔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
있는 독수리가 맡았습니다. 흑염소심판의 호루라기 소리와 함께 경기가 시작됐습니다.코
뿔
소 선수 멋지게 드리블을 합니다. 캥거루 선수에게 패스하는군요. 캥거루 선수 꼬리로 사자에게 패~스. 사자 선수 헤딩으로 멋지게 골! 역시 최고의 실력을 가진 동물 선수들,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무늬는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큰
뿔
양과 앵무조개는 왜?미국 알래스카에 사는 큰
뿔
양의
뿔
은 나선형으로 휘어지며 자란다.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래 전부터 지구에 살았던 앵무조개는 나선 모양의 껍데기 속에 몸을 감추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도 나선형의 구조를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
. ▶나 피나! 무섭지?
뿔
도마뱀남을 속이려고 피를 흘리는 동물도 있어요. 사막에 사는
뿔
도마뱀은 적을 만나면 처음에는 몸을 부풀려 크게 보이려고 합니다. 이 방법이 소용이 없으면‘쉿쉿’하고 위협의 소리를 내지요. 그래도 적이 도망가지 않으면 최후의 수단으로 눈에서 피를 뿜어 버립니다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05
마멘키사우루스도 추엔지앙고사우루스와 자리를 같이했다. 그밖에도 꼬리 끝에 뾰족한
뿔
을 네 개 가진 투오지앙고사우루스를 비롯한 오메이사우루스, 슈노사우루스, 양추아노사우루스가 중국에서 건너왔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의 공룡으로 모두 실제 화석이다.중국 척추고생물인류연구소가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03
1996년 5월 미국은 최신형 로켓 DC-XA를 시험했다. 높이가 12m로 아래 부분이 넓은 사각
뿔
모양의 이 로켓은 태권V 몸통을 닮았다. 이 로켓은 18초 동안 224m를 수직으로 상승했다가 30초까지는 옆으로 수평이동을 하였다. 그리고 수초 동안 공중에 머물다가 다시 땅으로 사뿐히 내려왔다. 총 비행시간은 6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과학동아
l
200602
달아오르게 하고 들뜬 수소가스는 주변으로 붉은빛을 뿜어내는 것이다.검은 용 둘레로
뿔
처럼 뾰족하거나 비늘처럼 복잡하게 보이는 구조는 검은 구름 근처의 가스와 먼지, 그리고 주변 별빛이 오묘하게 빚어낸 작품이다. 이런 종류의 구름은 별이나 행성이 탄생할 보금자리가 된다.은하수에 용이 ... ...
산타다굴러스의 허무한 추락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쏘았으나 엉덩이에 맞아 떨어졌다. 이 때 아래에서 산타다굴러스를 받으려던 싹쓸프의
뿔
에 찔리고 만 것이다.그런데 왜 그랬니?결국 세계적인 도둑인 산타다굴러스는 자신이 아끼는 사슴들에 의해 추락사고를 당하고 홈즈에게 잡히고 말았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그렇게 추락했어도 살아남았다는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중국에서 용은 기린, 봉황, 거북과 함께 네 가지 신비한 동물로 여겨졌지요. 용은
뿔
과 발이 있고 비늘로 둘러싸여 가시처럼 꼿꼿한 등을 가진 동물로 묘사됩니다. 또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용이 가진 힘은 바로 여기에서 나온다고 믿었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용을 비늘이 있는 동물 중의 우두머리로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훗날 프로토케라톱스가 진화하여 트리케라톱스와 같이 멋진
뿔
을 가진 다양한 각룡류로 발전한 것이라고 합니다.이제 조금 더 올라와 볼까요? 공주의 계룡산 입구에는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이 있답니다. 이 곳에서는 미국 와이오밍주 모리슨 지층에서 발굴하여 원형이 85% ... ...
과학은 군대를 강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다루는 제련 기술도 무척 훌륭해 화살촉 자체도 무척 튼튼했지요. 또한 탄성이 좋은 물소
뿔
로 활을 만들고 소의 힘줄로 활시위를 만듦으로써 힘을 적게 들이면서도 화살이 멀리 날아갈 수 있었답니다.이런 특징들 때문에 고구려의 화살은 다른 화살보다 두 배는 멀리 날아갔고 그 위력 또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