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쁨
악
불량
흉함
불꽃
화염
d라이브러리
"
불길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7
추가로 입력하고 있다. CHI의 나린 박사는 테크라인이 미국과 일본의 산업경쟁을 아주
불길
하게 그려내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기업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쇠퇴하고 있는 것이다."IBM은 겨우 현상유지를 하고 있을 뿐인데, 히타치는 계속 상승 일로에 있다. 주가를 보아도 마찬가지의 사실을 확인할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04
손잡이의 맨 앞에 위치한 알카이드(Alkaid)를 '파군성'(破軍星)이라 부르며 가장
불길
한 별로 여겼다.전해지는 민담에 따르면 이곳에는 사람을 태어나게 하고 그 죽음을 결정하는 신선이 살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칠성님이 바로 이 북두의 신선이다. 아직도 시골에서는 간혹 단을 쌓아 놓고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식탁에서 사우디산 새우를 찾기는 어려울 것 같다. 페르시아만에 솟은 전쟁의
불길
은 이 새우들의 서식지마저 생존불가능한 기름바다로 만들었기 때문이다.지난 81년부터 5년간 사우디수산공사(SF-C)의 수산연구관으로 소속돼 페르시아만의 어종과 그 양을 조사한 바 있는 문충정씨는 "카프지 주베일 ... ...
보이지 않았던 별
과학동아
l
199009
별이기도 하다. 그것은 황소자리가 있는 하늘 높은 곳에서 유례없는 광채를 발하며
불길
을 내뿜었다. 또한 그 광채의 위치가 황도내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점성가들에겐 특별한 관심거리였으며 유럽전역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세의 천체관측가들은 하늘의 그 지역을 관찰했을 것임에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08
'죽음의 신'이라 여겼고, 동양 점성술에서는 화성이 접근할 때 왕이 궁을 떠나면
불길
한 재앙이 왕에 미친다고 믿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전갈자리는 오리온(Orion 겨울철의 대표적 별자리)을 잡기 위해 아폴로(Apollo)가 풀어 놓은 거대한 전갈로 전해진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전갈자리가 동쪽에서 뜰때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08
방식에 따라 여러 형이 나와 있다. 그러나 어느 형이 좋은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불길
이 아직 타오르고 있는 실정이다.타자기의 구성을 보면 한글을 손으로 치기 위한 글자판과 인쇄를 위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글자판이 한글 입력장치이며, 인쇄를 위한 부분이 한글 출력장치이다. 각 ... ...
올해가 오로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007
띠면서 위용을 자랑하는 오로라를 관측하기 위해 관광인파가 몰려들고 있다. 과거에는 '
불길
한 징조'로 여겨졌던 오로라가 관광의 대상으로 바뀌게 된 것은 과학의 발달로 오로라 현상의 원인이 밝혀졌기 때문. 페어뱅크스는 보통 밤에는 영하 20℃까지 기온이 내려가지만 워낙 아름다워 추위조차도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06
분출이 간헐적으로 이어졌다. 그후 18년간은 잠잠하다가, 1952년 할레마우마우에 다시
불길
이 치솟으면서 킬라우에아는 그 명성을 되찾았다. 이날부터 1백36일동안 숨쉴 새 없이 계속 용암을 흘려 보냈던 것이다.할레마우무우가 힘을 잃자 이번에는 동부의 균열지역이 꿈틀거렸다. 1969년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06
도공들이 오랫동안 써 온 훌륭한 가마다. 여기서 불을 조절하기에 따라서 가마 속의
불길
은 산화염도 되고 환원염도 된다. 이 두 종류의 불의 성질이 마음대로 조절되면서 비로소 도자기에 색의 변화를 줄 수 있게 되었다.여기에 유약의 기술이 더해진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연유(鉛釉)에서 높은 ... ...
나방의 분신자살
과학동아
l
199005
나방은 직선상을 날 수 없게 된다. 결국 나방은 나선상의 길을 취하게 되고 마침내
불길
에 뛰어드는 것이다.2. ②지렁이는 특별히 분화된 호흡기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렁이는 피부를 통한 확산을 이용,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지렁이의 바깥 표면은 습기가 있고 근육과 비슷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