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보유
저장
관리
보호
침전물
갈무리
d라이브러리
"
보관
"(으)로 총 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
수학동아
l
201402
아랍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고대 그리스어의 문헌들을
보관
하고 번역하는 것으로 그 범위를 넓혀갔다. 그러자 자연스레 지혜의 집에서는 이슬람의 수학자와 과학자들이 모여 유클리드, 프톨레마이오스 등 고대 그리스 학자들의 주요한 철학, 과학 서적들을 번역하는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01
원부터 1000억 원 정도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대책은 전자지갑을 오프라인 저장 장치에
보관
하자는 정도에서 그치고 있다.비트코인을 현찰로 바꾸려다가 ‘사기’를 당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서던메소디스트대 테일러 무어 교수팀은 비트코인을 현찰로 바꾸려다가 실패할 확률이 45%에 달한다고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
수학동아
l
201401
건네 주었다. 그 봉투 안에는 네 가지 힌트가 적혀 있었다.“주어진 시간은 3분. 213번 물품
보관
사물함 안에는 폭탄이 들어 있어. 그 폭탄은 정확히 3분 이후에 터지게 되지. 폭탄이 터지면 비밀번호를 맞히더라도 사물함은 절대 열리지 않을 거야. 그러니 시간 이내에 비밀번호를 맞혀 사물함 안에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4
자석이 들어 있기 때문에 우산꽂이가 없어도 우산 손잡이를 철로 된 곳에 붙여서
보관
할 수 있어.디자이너의 한마디황보현 커플 우산 디자이너저는 어렸을 때부터 디자이너를 꿈꾸지 않았어요. 제가 좋아한 것은 발명이었지요. 초등학교 때부터 발명을 하고, 제가 발명한 것을 수수깡으로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12
어떻게 1년 동안
보관
할 수 있었을까. 냉장고가 없던 시절, 채소를 썩거나 얼지 않게
보관
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신선한 채소를 먹기 위해 인류가 발견한 대안이 채소절임이다. 세계에서 피클이나 단무지같은 다양한 채소절임이 나오지만 으뜸은 역시 김치다.소금에 절여 유산균 밭을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12
맛과 향, 질감이 풍부해질 뿐 아니라 수분이 줄어들고 숙성이 더뎌져 치즈를 오랫동안
보관
할 수 있어요.여드름 균은 생쥐가 좋아하는 치즈 만들어전문가들은 커드를 좀 더 단단하게 굳히기 위해 ‘키모신’이라는 효소를 넣기도 해요. 약 5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발견한 것도 키모신을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
과학동아
l
201311
설탕을 많이 넣어야만 잼이 생기거든요. 설탕은 미생물을 쫓아내 과일을 오랫동안
보관
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펙틴 분자를 뭉쳐 그물구조로 만들어요. 설탕이 물 분자들을 끌어당기면 빈 공간에서 펙틴 분자들이 가깝게 모이지요. 저는 사과 질량의 60~70%만큼 설탕을 부었어요. 설탕을 세 번으로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안에 주머니가 있다. 그래서 여러 번 돌아다니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모아서
보관
할 수 있게 해준다. 귀여운 다람쥐의 양 볼이 부풀어 있는 모습을 보면 징그럽기도 하지만 생존에는 훨씬 유리하다.어떤 동물은 넓은 입 안에 새끼를 넣어서 보호하기도 한다. 지금은 멸종된 개구리 중에는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
과학동아
l
201310
쉽게 재배가 가능해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구마는 장기
보관
이 가능하고 말리면 분말이나 과자로 만들어 주식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다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 잘 맞아 인기 있는 구황작물로 손쉽게 자리잡았다.3가지 고구마 로드고구마는 8000년 전 베네주엘라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0
꿀벌이 꿀을 만드는 데 에너지를 많이 쓴다. 꿀벌은 당도 80%까지 꿀을 농축해서
보관
하는데, 수분을 줄이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꽃이 다양하게 피어 있으면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꿀벌은 당도가 높은 꽃을 우선 찾아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도시는 꽃이 다양하지 않아서 선택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