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d라이브러리
"
바위
"(으)로 총 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
과학동아
l
201302
금속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어야 한다. 빙하가 녹으면서 얼음 사이에 드러나 있던
바위
가 떨어져 내리기도 한다. 바닥도 예측이 불가능하다. 단단한 얼음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표면만 얼어붙은 웅덩이일 수도 있다. 깊이 들어갈수록 위험한 순간은 늘어난다.빙하는 1년에 10여m씩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01
행성은 헤아릴 수 없이 오랜 세월 동안
바위
하나 개울 한 줄기까지 신들이 정성껏 가꾼 우주의 정원이었다. 그리고 그 정원에는 오직평화롭고 아름다운 것들만이 평화롭고 아름답게 살아갔다.그는 그 행성에 밤에 도착했다. 아름답고 평화로운 밤이었다. 지구의 달보다 조금 더 큰 위성이 ... ...
뱀 마을 아프리카 족장 비아미 젤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1
찾아 가방에 담아 보자.“드디어 황금 뱀 동굴을 찾았다!”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커다란
바위
로 된 동굴 문이 굳게 닫혀 있는 것.“뱀 그림에 맞춰 돌을 끼우면 동굴 문을 열 수 있어!”벽돌처럼 생긴 돌 위에 뱀 그림이 그려 있다. 조각을 그림 순서대로 맞춰 보자.“얏호! 드디어 열렸다! 저기에 ... ...
남극에도 꽃이 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3
다양한 환경스트레스를 이기는 데 씁니다. 앙증맞은 노란 꽃, 남극개미자리
바위
위에 핀 이 작은 노란 꽃이 보이시나요? 바로 ‘남극개미자리’의 꽃이지요. 남극개미자리는 쌍떡잎식물이며 석죽과에 속한답니다.남극개미자리는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인 0℃에서도 광합성을 활발히 할 수 있지요 ... ...
독도를 집에서 실시간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하면 원하는 곳을 더 크고 자세히 볼 수 있어요. 또 삼형제굴
바위
(사진)나 촛대
바위
, 군함
바위
등 보고 싶은 독도의 지명을 검색하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한답니다. 독도를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CCTV영상도 있어 지금 독도의 날씨가 어떤지, 파도소리는 어떻게 들리는지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지요 ... ...
새로운 가족을 발견한 보물섬, 독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1
발견한 생물종은 모두 640종이에요. 바람이 강하게 부는데다 식물이 자라기 힘든
바위
로 이뤄져 있는 걸 생각하면 이렇게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는 게 참 신기하죠.옆 나라가 너를 탐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저는 다양한 생물 외에도 풍부한 천연자원을 갖고 있어요. 특히 깊은 바닷속에는 ‘불타는 ... ...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속에는 팔뚝만한 잭피쉬가 사람들이 건네는 빵조각을 보고 흥분해서 달려들었어요. 산호
바위
에서는 작은 물고기들이 탐사원들의 발을 마구 공격했어요. 알고 보니 흰동가리와 해포리고기가 알을 보호하려는 행동이었답니다. 열대어 수십 마리와 산호를 눈으로 확인하고 만져 보는 경험은 직접 해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은쑥 같은 식물은 원래 살던 곳이 춥고 바람이 많이 부는 고산지대라 산비탈
바위
틈에 기르기 안성맞춤이거든요. 과학 정원 STEP ❹보존하기자연을 이해하고, 생물의 필요에 맞게 환경을 다듬은 뒤 가장 어울리는 곳으로 보내 주는 과정이 정말 한 편의 그림을 그리는 것 같아요~. 이렇게 과학으로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펴면80~120cm나 되지. 독수리는 비무장지대와 남부지방, 제주도를 찾는 겨울 철새야. 암벽
바위
에서 둥지를 짓고 알은 보통 1개를 낳지. 학이라고도 부르는 두루미(13%)는 논과 갯벌에서 어류나 식물을 먹으며 살아. 어류와 양서파충류가 중요해!어항에서 매일 볼 수 있는 물고기 좀 봐. 또 개굴개굴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11
곶처럼 불쑥 북쪽으로 솟아오른 감암리였다. 감암은 ‘감
바위
’라는 뜻이다. 실제로 큰
바위
가 있어 그리로 돛단배가 드나들던 ‘감암포구’가 있었다고 윤 이사장이 넌지시 말했다. 하지만 강둑에 제방을 쌓고 매립을 해서 지금은 포구의 모습은 흔적도 찾아볼 수 없다.“철새? 철새는 끝났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