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기구
d라이브러리
"
민간
"(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20분에 1종씩 생명이 사라지는 지구
과학동아
l
201007
60%가 허브로 열병을 다스린다고 조사했다. 특히 네팔의 경우 450종이 넘는 약초를
민간
요법으로 쓰고 있다. 전 세계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 인구 중 80%가 식물을 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보고서는 이들 약용 식물이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주고는 있지만 과도한 채집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고 ... ...
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수학동아
l
201007
신비로움에 숫자 7을 더해 불가사의 한 의미를 더한 것이다. 2007년 7월 7일 7시 7분에는 한
민간
단체에서 ‘신 세계 7대 불가사의’를 발표하기도 했다.한편 미국의 클레이수학연구소는 2000년에 지금까지 풀리지 않았던 수학의 난제를 모아 ‘수학의 7대 난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아직은 인력과 재정이 충분하지 못하다 보니
민간
인 피해자 발굴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유해발굴단은 올해 전국의 55개 발굴현장에서 1500구 이상의 유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는 이유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6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6
전인 천안함 침몰 직후부터 제기된 어뢰공격설과 일치한다. 민군 합조단에 참여한
민간
전문가가 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넣은 ‘수심 6~13m, 폭발물 45~420kg’이라는 조건은 어뢰가 폭발한 상황만을 염두에 두고 있다. 아직까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미증유의 사고인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05
현재 GPS를 가진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뿐이다. 하지만 두 나라의 위성기술은 군용인지
민간
용인지 구별하기 무척 힘들고, 사실 구별할 수도 없다. 독자적인 GPS를 구축하려는 국가는 유럽연합(2013년 목표), 중국(2012년 목표), 일본이고 이들 국가의 잠수함 활동범위는 아직 제한적이다. 앞으로 더 정교한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05
상식들이 많다. 식이 요법, 운동 요법, 약물 요법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이런 ‘
민간
요법’ 중에는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것들도 있다.장 청소를 하거나 식이섬유를 섭취해서 변비를 제거하면 복부 비만이 해결될 것이라는 생각도 그중 하나다. 사실 장 청소나 변비는 지방 용해와는 전혀 관련이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03
그대로 통과된다면 앞으로 NASA의 달 탐사는 당분간 중지되고 유인 우주탐사 분야는
민간
으로 이관될 것으로 보인다. 신형 우주복은 어쩌면 끝내 빛을 보지 못한 채 실험실 연구로 전락하는 운명을 맞을 수 있다.하지만 NASA가 직접 달 탐사를 하지 않더라도 언젠가 우리 인류는 다시 달에 가게 될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03
철사를 새끼처럼 꼬아 군데군데에 철사 도막을 넣어보기로 했다. 지금도 군대와
민간
에서 널리 사용되는 철조망은 이렇게 탄생했다.글리든의 발명품은 농장을 빠져나간 가축이 이웃 농장을 망가뜨려 고민하던 아내의 걱정을 덜어줬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목장주들이 더 이상 카우보이를 고용하지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01
장식품으로 판매한다. 1990년대에 매년 약 70마리의 호랑이가 밀렵으로 희생됐다. 현재는
민간
단체들과 정부의 보호로 400~500마리 정도의 호랑이가 비교적 안정적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다.그렇다고 이곳의 미래도 그리 밝지만은 않다. 이항 교수는 “밀렵이 줄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목재회사들이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01
를 보인다. 클러스터링 기술은 아직 국내에서 시도된 적이 없다. 일본처럼 로켓 개발에
민간
기업을 적극 참여시켜 효율성을 높이자는 의견도 나온다. 또 다른 쪽에서는 계획대로 성공하면 2030년쯤이면 사람이 탑승할 만한 유인우주선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2030년 공군 우주비행사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