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적확
정밀
명쾌
명석
명료함
명백
d라이브러리
"
명확
"(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10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10
했다. pickup 기사에서 아쉬운 점은 문장이 너무 길다는 것과 어떤 내용을 주제로 삼았는지
명확
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다양한 정보들을 담고 있으나 하나의 주제로 유기적으로 엮어지지 않고 분산돼 있다. 제목과 시작에서부터 첫 단추를 잘못 채웠기 때문이다. 추가 자료 조사나 취재를 한 노력은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
생각하는 학자들과 3층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들 사이에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답니다.
명확
한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이순신 장군이 당포에서 왜군을 물리친 것을 보고한 ‘당포파왜병장’의 내용에 따르면 거북선은 창고와 식량, 무기를 보관하는 1층과, 대포 발사, 노 젓기를 함께 하는 2층으로 ... ...
[9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09
사실과 근거에 대한 자신감이 보이지 않는다. 또 90%의 녹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근거가
명확
하지 않다. ‘이 많은 녹조’라는 표현도 어느 정도 분량의 녹조를 의미하는지 알 길이 없다. 때문에 이 기사를 보면 천연조류제어제라는 것이 있구나 정도로 다가올 뿐 구체적인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다.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09
사실 우주방사선 피폭이 승무원이나 승객결과들의 건강에 미치는 관계는 아직
명확
하지 않다. 핵의학 전문의들은 1회에 다량으로 맞는 방사선도 인체에 치명적이지만, 조금씩 축적되는 낮은 방사선도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말한다. 즉 비행기를 타고 가며 받는 저선량의 방사선도 시간이 꽤 ... ...
함께한다고 다 즐겁냐?
과학동아
l
201208
긍정적인 효과가 있긴 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그럴 수는 없잖아요. 논문에서
명확
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반대로 관계 만족도가 여가 만족도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었지요. 사이가 좋은 연인은 뭘 해도 재미있을 수 있는 겁니다.인간 관계란 게 수학 공식처럼 딱 떨어지지 ... ...
[8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08
위대한 자연법칙’을 선정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간결하고 명료하고 의미전달이
명확
한 기사의 요건에 부합했기 때문이다. 다른 기사들이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기사는 놀이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이로드롭의 원리에 대해 기사로 작성했다. 그런데 왜 자이로드롭이라는 인공 ... ...
[시사] 수학이 톡톡! 토크 콘서트가 열리다!
수학동아
l
201208
‘오일러의 정리’를 따르는 녀석이었다니! 명색이 축구해설가인 제가 지금까지 이를
명확
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네요.이로써 요즈음 출시되는 첨단 축구공들이 ‘완벽한 구형’을 지향한다는 말의 의미도 분명해졌습니다. 옛 시절의 저 유명했던 공이 구형이 아니라 사실은 다면체였으니까요 ... ...
정확한 수학적 표현이 관건
과학동아
l
201207
토대로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 이런 문제는 중학교 과정에서는
명확
한 답이 없는 열린 문제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평가는 학생들이 얼마나 창의적이고 논리적 완성도가 있는 수학적 내용을 작성했는가에 초점이 맞춰진다. 물론 이러한 성향의 문제들은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남긴 ‘라플라스 변환’과 ‘라플라스 방정식’이 유명하다.]‘맥스웰의 악마’는 꽤나
명확
하게 태어났다. 1867년 12월 11일, 맥스웰은 동갑내기 친구인 에딘버러대 자연철 학교수 피터 테이트에게 “열역학 제2법칙(용어설명)에 허점이 있다”고 편지를 썼다. 두 물체가 접촉하고 있을 때 외부 작용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06
갖고 있는 셈이다.도대체 와편모류의 이런 엄청난 DNA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아직은
명확
한 답이 없다. 그나마 와편모류가 세균이나 다른 미세조류도 잡아먹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들과의 내부 공생으로 진화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포식자가 섭취한 원시 세균들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